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위해상품 차단실적 크게 늘어, 온라인 쇼핑 등 여전히 사각지대
김인환 기자|kih2711@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위해상품 차단실적 크게 늘어, 온라인 쇼핑 등 여전히 사각지대

이훈, 국민안전 위해 유통구조 전반에 위해차단시스템 구축돼야

기사입력 2017-10-11 12:37:15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산업일보]
각종 유해물질 함유돼 국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위해상품의 판매차단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지만 ‘위해상품 판매차단시스템’을 도입한 중·소 유통매장은 14%에 불과해 소비자 안전이 여전히 위협받고 있다.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훈 의원(서울 금천구)이 산업통산자원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위해상품 판매차단시스템’에 위해상품으로 판명돼 판매차단이 이루어진 제품은 2009년 54개에서 2016년에는 2천858개로 53배 증가했다.

2017년도 판매차단 상품중에는 카드뮴(Cd) 기준치를 14배 초과한 어린이용 물놀이기구, 12배를 초과한 학용품(마킹펜)등 즉시 판매를 금지해야할 어린이용품들이 다수 포함돼있다. 차단시스템을 운영 매장 가운데 중·소매장, 온라인 쇼핑몰 등의 대책이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실제 유통망별 유해상품 차단시스템 도입률을 살펴보면 체인화된 편의점의 경우에는 86% 이상이 시스템을 도입해 운영하고 있지만 온라인 쇼핑몰과 중소유통매장 등은 각각 0.14%와 14%의 도입률에 그치고 있다. 식자재유통 매장과 SSM형 슈퍼의 경우에도 각각 25%, 3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현장의 생생함을 그대로 전달하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