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연구하기 좋은 기반 환경 만들어나가겠다”…‘나눠쓸래’ TF 킥오프 회의 개최
김인환 기자|kih2711@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연구하기 좋은 기반 환경 만들어나가겠다”…‘나눠쓸래’ TF 킥오프 회의 개최

임대식 과학기술혁신본부장, “‘관리·통제 중심’ 정책, ‘종합 지원’ 방향으로 수립해 나갈 계획”

기사입력 2017-10-19 20:04:37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산업일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가 국가연구시설․장비 고도화를 위한 노력에 나섰다.

과기정통부는 국가연구시설․장비의 고도화를 위해 18일, 과기정통부 온누리소통방에서 ‘나눠쓸래’ TF 킥오프(kick-off) 회의를 개최했다.

‘나눠쓸래’ TFT(Task Force Team)는 현장의 연구자 중심으로 실질적인 정책 개선을 위해 대학, 출연연, TP 등 다양한 유형의 연구기관, 연구 장비 사용자․관리자 및 장비 개발 전문가 등으로 구성됐으며, 과학기술기본법 제28조에 따른 ‘제2차 국가연구시설 장비 운영 활용 고도화 계획(안)’ 마련을 지원하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과학기술혁신본부 발족 직후, 국가연구시설․장비의 활용성 제고 문제를 집중 점검하고 근본적인 해결책을 마련하기 위한 세 차례의 연구 현장 의견 수렴 끝에 ‘3대 핵심이슈’를 도출해 개선방향을 마련했다.

임대식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범부처에서 지원․구축한 국가연구 시설․장비의 운영․활용 기준 및 연구장비의 국산화 지원 방안 등 국가 차원의 정책방향을 설명하고 이에 대한 현장의 목소리와 이해 관계자들의 의견을 청취하기 위해 TF를 직접 주재했다.

임대식 본부장은 TF 모두발언에서 “그간 국가연구시설장비 공동활용을 위한 관련 시책을 지속 추진해 옴에 따라 연구장비 공동활용 기반이 조성됐고 1억 원 이상 연구 장비의 공동활용율도 점진적으로 향상돼 왔으나, 여전히 활용성이 떨어지는 장비가 적지 않다는 지적이 있다”며, “그동안 노출된 문제점과 연구현장 의견수렴을 통해 파악한 ‘연구 장비 관리비 및 운영 인력 부족 등’ 현장의 애로사항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범부처 시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국가연구시설․장비 정책방향에 대해서는 “연구 장비는 연구 수행을 위한 핵심 도구임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연구시설장비 관리 제도로 인해 연구자들이 연구하는 데에 불편한 점이 있다면 과감히 해소하고, 연구장비가 효율적으로 관리․운영될 수 있도록 연구자 중심으로 시스템을 근본부터 정비해 나가는 등 ‘관리․통제 중심’의 정책에서 장비의 효율적 활용 및 산업화를 ‘종합 지원’하는 방향으로 연구장비 관련 정책을 수립해 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대부분의 참석자들은 TF에서 제시한 정책방안에 공감을 표시하고, 제도가 효과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실행방안 마련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고 과기정통부는 전했다.

임대식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추가적으로 “국가연구시설․장비 고도화를 위한 이번 논의를 통해 연구자들이 효율적으로 연구장비를 활용해 최고의 연구성과를 창출해 나갈 수 있는 ‘연구하기 좋은 기반 환경’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과기정통부는 이번 TF를 12월까지 운영할 예정이며 지역별, 연구장비 지원 유형별 의견 수렴 및 관계 부처 협의 등을 거쳐 올해 내로 구체적인 정책방안을 제시할 계획이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현장의 생생함을 그대로 전달하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