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지자체·중기부 지역경제위원회 개최…일자리 6천 개 창출 계획
지역 미래성장동력 확보 위해 전기차, 스마트선박 등 6대 신산업에 1천805억 원 투입
중앙정부와 지자체간 소통을 강화하고 지역정책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한 행사가 진행됐다.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와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는 최근 산업부 이인호 차관 주재로 지역경제위원회를 공동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 날 위원회에서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산업부·중기부의 주요사업 및 예산에 대해 의결했다.
경제협력권산업은 지역의 미래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6대 신산업(전기․자율차, 스마트·친환경선박, 프리미엄 소비재, 첨단 신소재 등) 14개 프로젝트로 확정하고 1천805억 원을 투입하기로 의결했다. 특히, 기존 지역간 산업단위 협력에서 프로젝트별 목표 달성을 위한 협력으로 개편해 동일산업간·지역간 경쟁보다는 가치사슬상에서의 상호협력이 이뤄지도록 하기로 했다.
특화산업은 예산투자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14개 시·도 주력산업을 기존 63개에서 48개로 조정하고 융복합 산업 비중을 확대했다. 선정된 48개 주력산업에 대해서는 연간 2천900억 원(주력 산업당 평균 60억 원)을 투입해 지역기업에 대해 연구개발(R&D), 시제품제작, 컨설팅 및 기술지도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또한, 향후 5년간 지역 스타기업 1천 개를 선정해 집중 지원하고 그 중 200개를 세계적 강소기업으로 진입시켜 양질의 일자리 6천 개를 창출할 예정이며, 지역기업 지원사업에 ‘지역기업 혁신성장 바우처’ 제도를 도입해 수요자(지역기업)의 지원서비스 선택 자율권도 대폭 확대할 예정이다.
커뮤니티비즈니스 활성화 사업은 지역 일자리와 소득 창출의 새로운 주체인 사회적 경제 기업에 대한 성장성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2018년부터 신규 추진하기로 했다.
산업부는 지역별 중점추진분야를 선정하고 사회적 경제 기업의 기술혁신(R&D) 및 디자인·시제품·판로개척 등 사업화를 집중 지원해 사회적 경제 생태계를 구축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이번 회의에서 논의된 주요 정책으로는 국가혁신클러스터 육성, 지역투자제도 개편추진, 신재생에너지 3020계획, 액화석유가스(LPG) 소형저장탱크 보급사업 등으로 지역투자제도 개편은 내‧외국인 투자에 대한 차등 해소, 대규모 고용창출에 대한 지원 등에 대해 지역 의견을 수렴했다.
이인호 산업부 차관은 “지역이 국가 혁신성장 달성의 주도적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산업부의 업종별 산업육성정책과 중기부의 중소기업 지원정책을 연계해 지역경제 활성화 및 지역산업·기업 성장,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