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건설산업 ‘스마트 기술’로 살린다
국토부, 건설자동화 기술 2025년까지 개발
새해에도 국내 건설 산업의 하락세는 회복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이에 정부는 회생의 방안으로 VR, IoT, AI 등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주요 기술을 활용할 전망이다.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는 2025년까지 스마트 건설자동화 등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기술 개발을 통해 건설현장 노동생산성을 40%까지 향상시키고, 안전사고로 인한 사망자 수를 30% 감소시키는 중장기 계획을 추진한다고 2일 밝혔다.
이같은 내용은 향후 5년간(2018~2022년)의 건설기술정책 로드맵인 ‘제6차 건설기술진흥 기본계획’에 포함한다고 국토부는 전했다.
현재 국내 건설 산업은 생산성이 정체돼있을 뿐만 아니라 국내 건설 엔지니어링 입·낙찰 평가 기준의 변별력이 낮아 업체의 기술력을 높이는 요인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국토부는 생산성·안전성을 향상시키고, 건설 엔지니어링의 국제 경쟁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스마트 기술 개발을 활용한 2대 주요 전략과 6개 분야 10개 추진과제를 마련해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이번 계획에 등장하는 스마트 건설기술은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은 건설 작업 현장에서 3차원 설계기술인 BIM을 활용해 가상 시공(VR)후, 3D 프린터를 활용해 공장에서 건설 부재를 모듈화해 제작하고, AI를 탑재한 건설 로봇에 의해 조립·시공하는 건설자동화 기술이다. 이를 2025년까지 개발할 계획이다.
더불어 드론, IoT 센서, 초소형 로봇 등을 활용해 시설물의 이상을 신속하게 검지·대응하는 시스템 개발과 제도적 기반 마련도 적극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올해부터 건설 엔지니어링 발주제도를 국제표준과 유사하고 기술력 중심의 정성·상대평가로 전환한 ‘종합심사낙찰제’로 전면 개편할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낙찰률이 소폭 상승하게 돼 낮은 엔지니어링 대가 문제도 일부 현실화될 전망이라고 국토부는 바라봤다.
국토부는 “국내 건설산업이 고부가가치 미래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첨단 기술과 융합이 필수적”이라며, “앞으로 건설산업이 데이터 기반의 첨단 공장형 산업으로 진화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 국민 안전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