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강국이라 불리는 우리나라가 정작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면에서는 주요국들 가운데 절반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7일, BSA 소프트웨어 얼라이언스(이하 BSA)가 발표한 ‘2018 글로벌 클라우드 컴퓨팅 스코어카드’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24개 주요 IT 경제 국가 중 12위를 기록했다.
BSA가 발표한 글로벌 클라우드 컴퓨팅 스코어카드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채택 및 성장을 위한 각국의 준비 수준을 평가‧연구한 보고서로, 여기에서 우리는 2016년과 같은 순위를 기록해 클라우드 컴퓨팅을 위한 법률 및 규제 환경이 클라우드 혁신을 위해 개선돼야 한다는 평가를 받았다.
한편, 독일은 전국적인 사이버 보안 정책과 자유 무역 진흥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고, 일본과 미국이 근소한 차이로 그 뒤를 이었다.
또한, 2018년에 대부분의 나라에서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양상을 나타내고 있는 반면, 러시아, 중국,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국제적인 접근 방식을 수용하지 못한 나라들이 낮은 점수를 기록해 격차를 보였다.
보고서에 의하면, 국가들은 대개 국가 간 데이터 흐름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데이터 보호 체제를 계속 업데이트하며 개선해나가고 있지만, 몇몇 국가에서 여전히 적절한 개인정보보호 법률을 채택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고급 개인정보보호 및 보안 정책이 선진국과 후행 시장을 차별화하는 요인임을 보여준다.
신흥 시장 역시 클라우드 친화적인 정책 채택에 뒤쳐져 성장이 저해되고 있다며, 그 예로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자에게 장벽이 되는 규정, 데이터 현지화 요구 사항, 사이버 보안 보호 수단 부족 등을 들었다.
이와 함께, 국제적으로 인정되는 표준이나 인증 및 테스트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보안 환경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모든 국가에서 현지 표준 충족과 같은 모범 사례를 받아들이고 있는 것은 아니며, 현지화 정책을 채택한 몇몇 국가에서는 막대한 비용을 지불하고 있어 재정적으로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고 밝히고 있다.
아울러, 클라우드 컴퓨팅을 활용해 성장을 이루려는 국가 및 기업의 역량을 확보하려면 강력한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며 거의 모든 나라가 광대역 이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꾸준히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BSA 빅토리아 에스피넬 사장은 “클라우드 컴퓨팅 스코어카드는 국가들이 정책을 건설적으로 자체 평가하고 클라우드 컴퓨팅 채택을 위한 다음 단계를 결정하는 데 유용한 도구”라고 말했다.
그는 또, “클라우드 컴퓨팅을 통해 대규모 조직에서만 사용할 수 있었던 기술을 이제는 누구나 이용할 수 있게 되면서 연결성과 혁신성을 위한 기반이 마련됐다”며, “데이터의 자유로운 흐름을 수용하고 최첨단 사이버 보안 솔루션을 구현하며 지적 재산을 보호하고 IT 인프라를 구축하는 나라는 기업과 국민 모두를 위한 클라우드 컴퓨팅에서 계속 혜택을 얻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