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글로벌 신산업 거점 전환 ‘경제자유구역’으로 탈바꿈
박재영 기자|brian@industryjournal.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글로벌 신산업 거점 전환 ‘경제자유구역’으로 탈바꿈

기사입력 2018-11-05 19:17:26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산업일보]
경제자유구역이 새로운 10년을 열어간다. 규제혁신의 시험대 구축을 통해 신산업을 육성하는 세계적인 거점으로 탈바꿈할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신산업 거점 전환 ‘경제자유구역’으로 탈바꿈
자료=산업부

정부는 5일 서울중앙우체국에서 제102차 경제자유구역위원회를 열고, ‘제2차 경제자유구역 기본계획’을 심의 확정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경자구역 기본계획’은 ‘경제자유구역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특별법’ 제3조의2에 따라 계획기간을 10년으로 하는 기본계획을 5년마다 수립한다.

이번 2차 기본계획은 기존 1차 경자구역 정책이 투자, 고용증가 등에 성과가 있었으나, 개발위주, 기반시설 지원 중심으로 이루어져 4차 산업혁명 대응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에 따라, 개발 및 외자유치 중심의 경자구역 패러다임을 전환해 맞춤형 규제혁신, 입주기업 혁신성장 지원 등을 통해 국내외 기업 투자 80조원을 유치하고, 일자리 27만개를 창출할 예정이다.

특히, 경자구역별 중점유치업종을 중심으로 국내외 기업, 대학·연구소 등 집적화를 통해 글로벌 기업과 인재가 모일 수 있는 생태계 조성 등 혁신성장 거점으로 육성하는 데 중점을 뒀다.

정부는 이를 위해 4차 산업혁명 대응 테스트베드 구축, 혁신 생태계 조성, 글로벌 특구로써의 경쟁력 강화, 추진체계 선진화 등 4대 중점분야, 12개 세부과제를 추진한다.

산업부는 제2차 경자구역 기본계획을 차질 없이 추진하기 위해 후속조치 사항을 이행·점검하는 한편, ‘경자구역 혁신 추진협의회’를 통해 지자체, 경자청, 유관기관과 힘을 합쳐 올해는 경자구역에 적합한 혁신성장 사업 발굴에 집중하고, 내년부터 구역별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정부 정책과 산업 동향을 객관적 시선으로 추적합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