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친환경 에너지 활성화 위해선 수소차·수소충전소 지원체계 필요
박시환 기자|psh@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친환경 에너지 활성화 위해선 수소차·수소충전소 지원체계 필요

오는 2050년 수소산업, 전 세계적 2천800조 원 부가가치·3천만 개 일자리 창출

기사입력 2019-04-02 13:20:45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친환경 에너지 활성화 위해선 수소차·수소충전소 지원체계 필요

[산업일보]
한국은 수소차와 발전용 연료전지 부문에서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친환경 수소생산 기술은 부족한 실정이다.

탄소를 대체할 미래 친환경 에너지로 수소경제가 주목받고 있는 만큼, 수소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수소차와 수소충전소 보급을 위한 지원체계 구축과 수소경제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기연구원에 따르면, 오는 2050년이 되면 수소산업은 전 세계적으로 2천800조 원의 부가가치와 3천만 개 일자리를 창출을 예상했다. 전체 에너지수요의 18%를 수소에너지가 차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의 경우도 70조 원의 부가가치와 60만 개의 신규일자리가 창출되며 수소전기차의 연간 매출액은 25조 원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2013년 세계 최초로 수소차 양산에 성공한 한국은 핵심부품의 99%를 국산화하는 등 수소차 부문을 선도하고 있고, 발전용 연료전지 부문에서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하며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수소차와 수소충전소 보급이 더딜뿐 아니라 친환경 수소생산 기술인 수전해방식의 핵심원천기술이 부족한 상황이다.

정부는 올해 초 '세계 최고수준의 수소경제 선도국가로 도약”한다' 비전을 내걸고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했다.

경기도는 정부의 로드맵에 대응하기 위해 2022년까지 수소차 3천 대, 수소충전소 27기를 구축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그러나 경기도의 수소차 및 수소충전소 구축 계획은 구체적인 지원정책이 다소 미흡한 실정이다.

2018년 기준 경기도의 수소차 보급은 7대에 불과하며 수소충전소는 연구용만 3곳에 있을 뿐 일반인이 이용할 수 있는 개방형 충전소는 없다. 서울, 부산, 충남 등 다른 광역시도에서는 국비 외의 수소차 구매보조금을 지원하고 있으나 경기도의 도비 지원금은 없다.

김군수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경기도는 미세먼지가 심각하고 다른 시도에 비해 자동차등록대수가 가장 많은데도 그동안 수소경제 실현에 소극적으로 대응해 왔다”며 “수소차와 수소충전소 보급을 지원하기 위해 경기도비 보조금을 신설,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경기도 수소경제 활성화 방안으로는 ▲경기도 수소차와 수소충전소 보급 촉진을 위한 지원체계 구축 ▲경기도 에너지비전 2030 목표 달성을 위한 수소에너지 활용전략 마련 ▲수소도시 실증사업 실시 등 민관 파트너십을 통한 경기도 수소경제 생태계 조성 등을 제안했다.

김군수 선임연구위원은 “미래에는 에너지 효율성 측면에서, 그리고 친환경 이동수단 측면에서 수소에너지가 최적의 대안이 될 것”이라며 “세계 주요국들이 수소경제를 선도하기 위해 과감한 투자를 하고 있는 상황에서 수소경제의 활성화를 위해 경기도형 수소경제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