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중국 스마트시티 시장 규모 25조 위안 전망
박시환 기자|psh@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중국 스마트시티 시장 규모 25조 위안 전망

‘한중 스마트시티 포럼 및 상담회’ 통해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 솔루션 파트너링 모색

기사입력 2019-07-05 05:00:13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중국 스마트시티 시장 규모 25조 위안 전망

[산업일보]
중국의 스마트시티 시장규모는 신형도시화건설 추진이 가속화되면서 지난해만 7.9조 위안(약 1천334조 원)에서 2022년 25조 위안(약 4천227조 원) 규모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향후 4년간 3.2배 성장이 예상된다.

KOTRA(사장 권평오)는 4일(현지시간) 중국 섬서성 시안시에서 중국 2-3선 도시 스마트시티와 정보통신기술(ICT) 프로젝트 수주 지원을 위해 ‘한중 스마트시티 포럼 및 상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행사가 개최되는 시안은 내륙 개발 거점지역이며 최근 중국 최대 검색엔진그룹 ‘바이두’에서 AI 스마트시티를 건설하기로 하는 등 관련 프로젝트 활동이 활발하다.

이번 행사에서는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AI, 정보보안 등 스마트시티 핵심기술 분야 우리 스마트시티 대표 중소중견기업 13개사와 섬서성 빅데이터산업협회, 아이소프트스톤(isoftstone), 화샤싱푸(CFLD) 등 중국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발주처 및 관련기관, 바이어 및 투자가 총 90여개사가 참가했다. ▲한중 스마트시티 포럼 ▲양국 대표기업 기술소개 IR(투자설명회) ▲1:1 파트너링 상담회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중국에서 향후 발주예정인 스마트시티 프로젝트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수주를 위한 한중 기업 간 협력 방안 등을 모색했다.

참가 국내기업 중 지난 1월 미국 볼티모어에서 160억원 규모의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를 수주해 화제가 됐던 이큐브랩(폐기물 통합관리 솔루션)의 강조훈 매니저는 “경쟁이 치열한 중국 연안 1선도시가 아닌 2·3선 내륙도시 진출에 대한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음에도 진출방법에 대해 막연했다”며 KOTRA가 마련한 이번 행사를 계기로 중국 내륙 스마트시티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했다.

개막행사로 열린 ‘한중 스마트시티 협력포럼’에서 중국 섬서성 스마트시티 구축현황 및 계획을 소개한 섬서성 공신청(공업정보청_지역산업진흥기관) 처샤오춘 부처장은 “중국 서부대개발 20주년에 맞춰 섬서성에서는 스마트시티 조성에 과감한 투자로 내륙도시발전 및 도시 환경 개선에 집중하고자 한다”며 한국에서 우수기술을 보유한 기업들의 중국 스마트시티 사업에 대한 적극적 참여를 주문했다.

박한진 KOTRA 중국지역본부장은 “스마트시티는 4차산업혁명의 꽃이자 우리의 미래 먹거리”임을 강조하며, “중국 전역의 탄탄한 네트워크를 활용, 우리 유망 스마트시티 관련 기업의 중국 진출 및 프로젝트 수주 지원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