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중국, 안전 먹거리 눈 뜨면서 수입 거부건 늘어
이겨라 기자|hj1216@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중국, 안전 먹거리 눈 뜨면서 수입 거부건 늘어

기사입력 2019-07-09 18:52:23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중국, 안전 먹거리 눈 뜨면서 수입 거부건 늘어

[산업일보]
중국은 한국 식품수출의 약 16%를 차지하는 중요한 시장이다. 주로 음료, 주류, 당류 등 기호식품과 면류, 사탕과자류 등의 농산가공품에서부터 낙농품, 꿀 및 로얄제리 등 축산가공품 등을 수출한다. 그러나 이러한 식품이 중국에서 수입통관 시 거부되는 건수가 많아지고 있다. 거부 건수로만 따지면 한국이 6위다.

중국 소비자들이 식품 안전성에 눈 뜨면서 안전한 먹거리로 중국 식품시장을 공략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무협 청두지부의 ‘중국 식품 안전규정 강화에 따른 한국 식품기업 수출전략’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해 한국 전체 식품 수출의 15.9%, 12억4천600만 달러를 차지하는 중요한 시장이지만 2016년 이후 수입통관이 거부된 사례도 617건이나 된다.

중국이 그 만큼 식품 안전을 강화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바이두지수에서도 지난해 10대 검색 키워드 중 ‘식품 안전’이 5위에 올랐고 검색량의 90%를 20~40대에서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광동, 산동, 저장, 베이징 등 동부 연안 도시에서 관심이 많았고 음료·과자류 등 영유아용 식품은 비싸더라도 신뢰도 높은 유명 브랜드 제품을 선호하며 조미료 등 일상식품과 건강식품은 영양 및 화학성분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정부도 지난 2015년 ‘식품안전법’을 제정한 데 이어 지난 5월에는 국무원이 ‘식품안전 관리규정 강화계획’을 발표하는 등 식품안전 기준을 더욱 강화했다. 수입식품 통관거부 건수도 2016년 3천42건에서 2017년 6천631건으로 대폭 증가했다가 2018년 1천351건, 올해 1~5월은 478건을 기록 중이다.

한국 식품의 경우 2016년에는 161건이 통관 거부됐지만 2017년에는 399건으로 급증해 수입식품 통관 거부국 6위에 올랐고 작년에는 46건, 올해는 11건을 각각 기록했다.

고범서 청두지부장은 “2017년 수입식품에 대한 중국 소비자의 선호도 조사에서 안전성과 가성비를 갖춘 한국 식품이 6위에 올랐다”면서 "우리 기업들은 점차 강화되는 중국의 식품 안전규정 모니터링과 영유아 식품의 프리미엄화, 1~2인 가구 공략 등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국제산업부 이겨라 기자입니다. 전자, 기계, 포장산업 등 중화권 소식과 전시회 소식을 발빠르게 전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