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바레인 정부가 코로나19 및 유가하락 사태로 인한 자국민의 경제적 피해를 줄이기 위해 GDP의 29.6% 규모의 경기부양책을 발표했다.
바레인은 최근 코로나19 사태에 유가하락까지 겹치며 심각한 재정 적자 상태를 맞이했다. IMF에 따르면, 바레인의 재정적자는 2019년 10.6%에서 올해 15.7%로 악화할 전망이다. 바레인의 재정균형 유가는 95.6달러지만, 현재 유가는 이의 3분의 1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의 보고서인 ‘바레인 코로나19 현황 및 정부의 경기부양책’에 따르면, 코로나19 및 유가하락에 정부, 민간 부문이 입은 불가피한 타격을 완화하기 위해 바레인 정부는 지난 3월 17일 114억 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을 발표했다.
바레인은 그간 탄화수소 및 석유산업 중심의 경제 구조를 탈피해 의존도를 낮추고자 관광산업, 제조업, 금융업 등으로 눈을 돌리는 데에 힘써왔다. 하지만 이번 사태로 인해, 관광산업은 물론 산업 전반의 성장 속도가 더뎌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관련 대책을 마련하려는 움직임에 더욱 힘이 실리고 있다.
바레인 정부는 4월 초 각료 회의에서 각 정부 부처 및 기관의 지출을 약 30% 삭감하기로 결정했다. 코로나19로 인한 비상사태에서 예산을 확보하기 위해 마련하기 위해서다.
3월 중순경 마련한 경기부양책도 체계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바레인 정부가 마련한 경기부양책은 ▲모든 개인 및 사업체 지방세 면제 ▲모든 산업용 토지 임대료 면제 ▲모든 관광 관련 산업 관광 부담금 면제 ▲중앙은행 대출 부문 37억 디나르로 확대 등 개인 및 기업의 피해 구제를 위한 내용을 골자로 한다.
더불어 바레인 정부는 경기부양책의 일환으로 4월에서 6월, 민간부문 근로자 10만 명의 급여 지원을 위해 5억7천만 달러 규모의 예산을 편성하기도 했다.
KOTRA의 이정모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무역관은 “당분간 저유가가 지속할 것으로 예상돼 단기간 내 바레인 정부의 재정적자 회복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라며 “경기 위축과 경제활동의 제약으로 정상적인 업무에 지장을 받는 기업이 다수인 실정이기에, 현지에 이미 진출한 한국 기업의 경우 피해 최소화를 위해 경기부양책을 적극 활용하길 권장한다”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