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미래 국가 경쟁력을 강화할 핵심 기술 중 하나는 단연 인공지능(AI)이다. 미국과 중국, 일본 등 기술 선진국은 저마다 AI 인재를 확보하기 위한 치밀한 전략 수립에 주력하고 있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의 보고서인 ‘미·중·일 AI 인재 확보 정책 비교 및 시사점’에 따르면, 미국과 중국, 일본은 모두 AI 인재 양성 정책 마련에 힘을 싣고 있다. 세계 AI 패권을 장악하기 위해 마련한 국가별 중장기 전략에서 AI 인재를 확보하는 것이 세 국가의 공통적인 과제로 제시됐다.
하지만 AI 인재 양성에 있어서, 현재 국가별로 맞이한 각기 다른 상황과 조건을 고려해 각국의 전략을 보충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먼저, AI 인재 확보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우위를 점하고 있는 미국의 경우, AI 인력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인 것으로 드러났다.
Reuter에 따르면, 지난 2016년에서 2018년간 미국 내 전체 채용 공고 중 AI 채용공고의 비율은 두 배가량 증가했지만, AI 일자리 검색의 증가율은 15%에 그쳤다. 이에 더해, 미국은 최근 변화한 이민 정책과 타 국가의 적극적인 인재 확보 경쟁 속 인재 유실의 위험이 더 커지고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한 보다 현실적인 대안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중국의 경우 AI 인재의 ‘정착’을 도모할 수 있는 정책의 필요성이 언급됐다. 30개 이상의 중국 대학이 AI 대학을 설립하고 관련 프로그램을 신설함으로써 유수의 AI 인재가 대량 생산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중국에 정착하지 못한 채, 해외로 인재를 빼앗겨버리는 경우가 다수 있는 상황이다.
실제로, 지난 10년간 신경정보처리시스템학회에 채택된 중국 AI 과학자의 75%가 중국 외의 지역에서 일하고 있으며, 이들의 85%가 근무하는 곳은 미국인 것으로 드러났다.
KISDI AI전략센터의 김민진 전문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중국은 인재 정착 인센티브 제공에 보다 중심을 둬야 할 것’이라며 ‘혁신적인 근무 분위기를 조성하며 적절한 지위와 경력 개발 기회를 제공하는 등의 작업 환경을 만들어 AI 인재가 해외가 아닌 중국에 정착할 수 있는 배경을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했다.
고령화와 노동인구 감소 등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핵심 열쇠로 AI에 주목하고 있는 일본은 미국과 중국에 비해 AI 인재 양성이 다소 뒤처지고 있는 모습을 보였다. 이에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전반적인 인재 육성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 또한 ‘우선순위화’를 통해 AI 국가전략을 재정비할 시기를 맞았다. 김민진 전문연구원은 ‘AI 국가 전략은 인재 육성 중심의 전략’이라며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문제를 선결한 후, AI 인재 양성을 위한 보다 체계적인 추진 계획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