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해 사회적 거리두기를 시행하는 기업이 많아짐에 따라 재택근무가 차지하는 비중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제조현장에도 동일하게 영향을 미쳐 과거에 비해 필요 인력이 감소한 스마트공장에 대한 관심이 다시 확산되고 있다.
19일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 디지털뉴딜분과위원회 디지털전환 TF가 주최하고 중소기업중앙회가 주관한 가운데 개최된 ‘중소기업 디지털 전환 정책 토론회’에서는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스마트공장 보급사업을 현장에 어떻게 연착륙 시킬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디지털전환 TF 단장을 맡고 있는 강병원 의원은 인사말에서 “한국판 뉴딜의 과제인 디지털‧그린 분야 융복합 과제에서 핵심이 되는 것이 스마트그린산단과 스마트 공장”이라며 “제조업 생산의 절대다수를 차지하며 우리 경제의 허리 노릇을 하고 있지만, 온실가스 배출 비중이 높은 산단을 지속 가능한 발전의 틀에 맞춰 변화시켜가야 한다”고 말했다.
발표자로 나선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조용주 수석연구원은 ‘스마트공장 추진 정책 제고에 따른 스마트공장 세부추진 방향’이라는 주제의 발표를 통해 스마트공장 보급에 가속도를 붙이기 위해 필요한 요소를 제시했다.
조 연구원은 “제품개발과 관련한 전체 가치사슬과 공급산업 및 수요산업을 포함하는 거시적인 관점의 국가 제조혁신 추진전략 및 목표 설정이 필요하다”고 말한 뒤 “궁극적으로는 공급기업과 수요기업이 협력해 부가가치가 있는 E-Plant'공장을 만들 수 있는 엔지니어링 기업을 육성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산업단지 및 협회 중심의 스마트공장 보급 확산 사업 추진’도 이 자리에서 언급됐다. 조 연구원의 발표에 따르면, 스마트공장 보급 확산 사업 진행과 관련해 공급기업 부실화와 수요기업의 소극적 참여에 따른 시스템 미사용과 같은 부정적 측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이에 산업와 해당 산업의 협회를 중심으로 스마트화에 대한 현장 수요를 발굴해 수요기업 협의체 또는 Local Value Chain의 구성과 공급기업을 매칭하는 컨소시엄의 구성이 요구된다.
스마트공장 분야 전문 연구기관의 설립에 대한 요청도 이어졌다. 조 연구원은 독일의 ‘프라운호퍼 연구소’를 예로 들며 “국내 4차 산업혁명 및 스마트공장 기술을 선도하기 위해서는 ‘Factory 운영 및 통합기술’과 ‘시장분석, 기술사업화 그리고 비즈니스 모델 개발’의 R&D를 수행하는 정부 출연연구소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