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드뉴스] 韓, 중소기업 디지털전환 미흡…“궁극적인 목표 강조해야”
최수린 기자|sr.choi@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카드뉴스] 韓, 중소기업 디지털전환 미흡…“궁극적인 목표 강조해야”

디지털 전환 촉매 ‘코로나19’…韓 디지털 전환, 아태지역 내에서도 14개국 중 6위

기사입력 2020-12-16 07:09:30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카드뉴스] 韓, 중소기업 디지털전환 미흡…“궁극적인 목표 강조해야”

[카드뉴스] 韓, 중소기업 디지털전환 미흡…“궁극적인 목표 강조해야”

[카드뉴스] 韓, 중소기업 디지털전환 미흡…“궁극적인 목표 강조해야”

[카드뉴스] 韓, 중소기업 디지털전환 미흡…“궁극적인 목표 강조해야”

[카드뉴스] 韓, 중소기업 디지털전환 미흡…“궁극적인 목표 강조해야”

[카드뉴스] 韓, 중소기업 디지털전환 미흡…“궁극적인 목표 강조해야”

[카드뉴스] 韓, 중소기업 디지털전환 미흡…“궁극적인 목표 강조해야”

[산업일보]
디지털전환을 향해 전 세계 제조업계가 힘찬 발걸음을 옮기고 있습니다. iKIET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의하면, 이러한 움직임이 코로나19로 인해 더욱 힘을 얻고 있다고 합니다.

스마트제조의 선도국인 독일도 인더스트리 4.0의 수용 속도가 코로나19 이전에는 8%(2017), 9%(2019) 수준에 그쳤습니다. 하지만 포스트 코로나시대를 준비하며 스마트제조 및 디지털화에 대응하기 위해 더욱 신속히 준비태세를 갖추려는 모습입니다.

주요국과 마찬가지로, 한국에서도 디지털전환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시점인데요. 하지만 유독, 중소기업에서만큼은 디지털화의 필요성과 효용성에 대한 논의가 상대적으로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올해 시스코가 실시한 디지털성숙도 조사에 의하면, 아태지역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 단계는 4단계 중 2단계로 높지 않은 수준이며, 한국의 경우 14개국 중 6위로 아태지역 내에서도 디지털 성숙도가 낮은 상황입니다.

이에 중소기업의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을 위한 전략을 모색하려는 노력이 일고 있습니다. iKIET의 관계자는 보고서를 통해 ‘디지털전환을 단순히 생산 과정의 최적화로 생각하는 것을 넘어, 새로운 가치와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려는 궁극적인 목표를 강조해야 한다’라고 했습니다.

산업인과 소통하는 산업전문미디어 '산소통'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