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이차전지 소재부품기업 전용 배터리 시험제조라인 구축
김성수 기자|kss@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이차전지 소재부품기업 전용 배터리 시험제조라인 구축

중대형 배터리 소재?부품 평가 및 파일럿 셀 제조?평가까지 일괄 지원

기사입력 2021-02-04 08:28:13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이차전지 소재부품기업 전용 배터리 시험제조라인 구축

[산업일보]
국내는 휴대전화 등에 쓰이는 소형 전지를 위한 시험평가 인프라 만 있을 뿐, 전기차·ESS등에 쓰이는 중대형 전지 테스트를 위한 전문적 제조·평가 인프라는 상당히 부족한 실정이다.

새로 개발된 소재로 배터리를 만들었을 때의 최종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배터리 셀 생산라인이 없는 소재‧부품 기업들은 전지생산업체에 성능평가를 의뢰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소재부품 개발 기업이 겪는 애로사항은 컸다.

정부가 이 같은 어려움 해소를 위해 중대형 이차전지 소재부품을 생산하는 국내 중소·중견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키로 했다. 오는 2023년까지 총 230억 원을 투입해 ‘이차전지 소재부품 시험평가센터’를 구축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차전지 시험평가센터에서는 국내 중소·중견기업이 개발한 이차전지 핵심 소재와 주요 부품에 대한 분석 뿐 아니라 실제 전기차에 사용되는 수준의 중대형 배터리 셀로 제작해 셀 성능 평가까지 받아볼 수 있으며, 평가결과 피드백, 오류분석 등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해 기술적 완성도를 높일 수 있도록 일괄 지원한다고 4일 밝혔다.

또한 셀 제조라인 및 시험평가 장비 등을 활용한 실습 플랫폼을 운영하는 등 이차전지 전문인력양성 기능을 함께 수행한다. 이번 사업을 통해 소재부품 시험평가센터가 구축되면 소재부품을 개발하는 중소‧중견기업들은 성능평가 비용과 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개발 초기단계부터 배터리 셀에 적용해 테스트할 수 있는 기회도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전지 제조사들은 셀 제조라인을 본래 목적인 배터리 생산에 집중해 사용하면서도, 다양한 소재부품에 대한 신뢰성 있는 평가 결과를 받아볼 수 있게 된다.

지자체와 업계도 반기는 분위기다. 한 업계 관계자는 “새로운 소재를 여러 버전으로 개발하더라도 평가 기간과 비용 문제로 모두 테스트해보지 못하는 아쉬움이 있었다”면서 “개발한 소재를 실제 배터리로 제작해 시험해볼 수 있어 배터리 제조업체 납품에도 큰 도움이 될 것 같다”고 기대감을 표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차전지가 새로운 주력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소재부품 기초기술 경쟁력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소재부품 개발기업 뿐 아니라 배터리 제조 기업의 수요까지 종합적으로 반영해 필요한 장비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산업 관련 정책과 동향을 전달하기 위해 여러분과 만나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