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중국과 일본으로부터 90%이상 수입을 의존하고 있는 마그네슘계 세라믹 원재료 공급 안정을 위한 기술개발이 본격 추진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4일 '마그네슘(Mg)계 세라믹 원재료 국내생산 시범사업' 지원계획을 공고했다고 5일 밝혔다. 중소·중견 세라믹기업 등에 올해부터 2025년까지 향후 5년간 6개 과제 총 229억 원의 R&D를 지원하기로 했다.
마그네슘계 세라믹 원재료는 철강용 내화물, 전기차 배터리 방열필러 소재용으로 사용된다. 국내 수요는 26.4만 톤(약 1천410억 원)로 저품위(순도 93% 내외)는 중국, 고품위(순도 98% 이상)는 일본에서 주로 수입(90%)하고 있다.
국내 자원을 활용한 국내 생산기반 구축을 통해, 그간 원가경쟁력(중국), 기술경쟁력(일본) 열위로 수입에 의존했던 마그네슘계 세라믹 원재료의 소재 공급 안정화와 철강, 화학, 환경 등 수요산업의 경쟁력 강화가 기대된다.
이사업은 마그네슘(Mg)계 원재료 국내 공급, 마그네슘(Mg)계 응용제품 개발 2개 분야로 지원을 한다.
마그네슘(Mg)계 원재료 국내 공급에 있어서는 국내 가용자원(백운석, 해(간)수, 폐내화물 등)을 활용한 마그네슘(Mg)계 원재료 생산 공정기술 개발 관련 신규 3과제에 과제당 5년간 최대 53억 원 지원(2021년 31.5억 원) 한다.
마그네슘(Mg)계 응용제품 개발의 경우, 국내 생산 마그네슘(Mg)계 세라믹 원재료를 활용한 고부가가치 응용제품 개발 관련 신규 1과제에 5년간 최대 47억 원을 지원한다(올해 9.5억 원). 신규과제 수행기관은 평가를 거쳐 다음달 중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