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탄소중립 위한 車 산업 변화…‘공급망 재구성’
도수화 기자|95dosuhwa@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탄소중립 위한 車 산업 변화…‘공급망 재구성’

내연기관차 대신 전기동력차 공급 확대

기사입력 2021-09-23 14:20:02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산업일보]
주요국들이 탄소중립을 위해 자동차 등 수송부문의 탄소 배출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자동차산업은 생산, 사용, 폐기의 전 과정에서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산업 중 하나다. 산업연구원(이하 KIET)의 ‘자동차산업 탄소중립 추진 동향과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 기준 우리나라 자동차산업 수송(운행) 부문과 산업(생산) 부문에서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총 1억 140만 톤인 것으로 나타났다.
탄소중립 위한 車 산업 변화…‘공급망 재구성’

이는 우리나라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14.3%를 차지하는 비중이다. 자동차 산업은 특히 이용과정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만큼, 주요국은 이에 걸맞은 탄소배출 제로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미국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8월, 2030년 미국에서 판매되는 자동차의 절반을 ZEV(Zero Emission Vehicle, 무공해차)가 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바이든 행정부는 50만 개의 전기차 충전소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150억 달러를 국회에 요구했다.

EU 역시 ‘핏포 55(Fit for 55)’ 법안을 유럽 의회에 제출하면서 2030년에 1990년 대비 탄소 배출량을 55% 감소하고자 계획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 법안은 2030년 자동차의 이산화탄소 배출기준을 개정하도록 촉구하고 있다.

일본 스가 총리는 2050 탄소중립을 선언하며 자동차 부문의 경우, 2035년까지 신차 판매에서 전기동력차 비중을 100% 실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우리나라 정부도 지난 8월,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초안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를 제시했다. 보고서는 우리나라와 자동차 산업 실정이 유사한 일본을 참고해 탄소저감을 이뤄나가야 한다고 언급했다.

보고서는 ‘우리나라의 자동차산업은 수출 및 해외 생산 등 해외 의존도가 높은 편으로, 세계 시장 전망과 주요 교역국의 정책을 고려해 탄소 저감을 추진해야 한다’며 ‘수출 중심의 생산 구조 등 자동차 산업의 구조가 유사한 일본과 같이 제조업 비중과 석유의존도가 높은 현실적 한계를 인정하고 실현 가능한 방안으로 탄소 저감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고 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