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발전, 에너지저장장치(ESS) 발전 사업자가 한 곳에 모였다. 2020년 12월 지정된 광주 ‘그린에너지 ESS발전 규제자유특구’ 사업을 위해서다.
광주광역시는 중소벤처기업부의 4차 특구 지정에 따라 주어진 4년간의 기간 중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2년간 ESS 인프라 구축, 사업자 간 전력거래를 위한 실증에 나선다.
현행 제도에서는 ESS를 통한 발전이 불가하지만, 광주 규제자유특구 내에서는 허용된다. 또한 허가받은 ESS 발전사업자가 생산한 전력을 전력시장(한국전력공사)을 거치지 않고 사용자와 직거래할 수 있는 특례를 부여받는다.
이를 위해 광주는 지역 내 부지를 선정해 약 10MWh 규모의 ESS를 설치할 계획이다. 산업단지 내 지붕에 있는 태양광 발전설비에서 얻는 신재생 에너지는 ESS에 저장하고, 전기차 충전소와 공공건물 등에 전력을 보급할 예정이다.
ESS발전 특구사업, 13개 기업·기관 참여
그린에너지 ESS발전 규제자유특구 사업에 참여하는 13개 기업 및 기관은 각자의 영역에서 맡은 바를 따라 움직인다. ㈜정우엔지니어링, ㈜지엔이피에스, 현대로오텍(주)은 태양광 발전소와 연계한 ESS 발전소 구축·발전 제어 기술 개발 등을 맡는다.
인셀(주), ㈜조인트리, ㈜그린이엔에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빅데이터 기반 ESS발전 종합운영상황실을 구현해 배전망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안전성 검증을 담당한다.
ESS발전을 기반으로 다양한 사업자 간의 전력 직거래가 이뤄지는 데 필요한 맞춤형 전력거래 모델 실증에는 ㈜그리다에너지를 포함한 3개 회사가 참여한다.
광주광역시 백운선 주무관은 “전력 거래의 경우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전력거래소 금액을 고려한 단가 조정 등의 과정이 필요하다”며 “다만 현재는 실제 판매가 이뤄지는 단계는 아니며 시뮬레이션과 같은 가상 모델 형태로 연구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달 28일부터 광주 특구 내 ESS 발전소 구축을 시작한다고 덧붙인 백 주무관은 “올해 상반기는 인프라 구축에 집중하며 하반기 실증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ESS 인프라 구축과 ESS 발전사업자 인정, 자급자족 전력 직거래 생태계 조성 등 일련의 과정을 거쳐 광주가 신재생에너지 활용 선도모델로 자리 잡기를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