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뉴스] 기업의 지방 이전, 물류·인력 문제 해결이 우선](http://pimg.daara.co.kr/kidd/photo/2022/05/20/thumbs/thumb_520390_1653055576_49.jpg)
[산업일보]
기업 10곳 중 약 9곳이 지방 이전 계획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으로 이전 시 교통·물류의 불편함과, 인력 확보가 어렵다는 이유가 가장 컸다.
전국경제인엽합회(이하 전경련)는 최근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1천대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의 지방 이전 및 지방 사업장 신증설에 관한 의견’을 조사했다. 그 결과, 응답 기업 152개사 중 89.4%가 ‘이전 계획이 없다’고 답했다.
기업의 지방 이전에서 가장 큰 장애요인은 ‘시간·비용 증가 등 교통·물류 애로’(23.7%), ‘기존 직원 퇴사 등 인력 확보 애로’(21.1%)가 꼽혔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에서는 ‘사업장 부지 확보 애로’(13.5%), ‘규제’(13%)도 장애요인으로 비중이 10% 이상 차지했고, 서비스업에서는 ‘숙소·병원·학교 등 생활 인프라 부족’(12.8%)이 장애요인 중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지방의 사업 환경이 해외에 비해 좋다’는 응답은 35.5% 수준이었고, 57.9%가 ‘해외와 별 차이가 없다’고 답했다. 지방이 해외에 비해 나은 점은 ‘교통·물류 인프라’(29.7%), ‘세제 혜택 및 투자지원’(21%), ‘숙소·병원·학교 등 생활 인프라’(11.1%), ‘관련 업체와의 협력 용이’(11.1%) 등이었다. ‘높은 인건비’(38.4%)와 ‘시간·비용 등 교통 물류상의 애로’(23.1%)는 해외에 비해 취약하다고 평했다.
지방으로 이전했거나 검토 중인 시설은 생산공장(43.8%), 본사(31.3%), 영업소(18.8%), 연구소(6.1%) 순이었으며, 이전 이유는 사업 확대가 용이(29.2%)하거나, 교통·물류 환경 등 입지가 좋아서(27.1%)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전 희망 권역으로는 55.3%가 ‘대전·세종·충청’을 선호했다. 그 뒤는 ‘부산·울산·경남’ 16.4%, ‘대구·경북’ 11.2%, ‘강원’ 8.6%, ‘광주·전라’ 6.6%, ‘제주’ 1.9% 순이었다.
전경련 산업정책팀 류성원 팀장은 본보와의 전화 통화에서 “대전·세종·충청권은 수도권과 가까운 것이 큰 장점”이라며 “실제로 수도권에 규제를 시행하면서 수도권 접경지역의 충청권에 투자가 상당히 많이 늘었다”고 말했다.
이어 기업이 부산·울산·경남 지역을 선호하는 이유는 공장 인프라 등이 상대적으로 다른 지역보다 우위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라고 추정했다.
류 팀장은 “국토 균형 발전 차원에서 지방 투자에 대한 사회적 이야기가 나오고 있지만, 실적이 좋지는 않은 상황”이라며 “지방으로 이전하지 않는 기업이 90%에 가깝다는 측면에서 볼 때, 지방 이전의 장애물로 꼽히는 교통·물류 인프라와 인력 확보 문제 등에 대한 지원을 더 강화해야 기업의 지방에 진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