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정부, '규제혁파' 민간 주도 로봇산업 '활성화'
김성수 기자|kss@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정부, '규제혁파' 민간 주도 로봇산업 '활성화'

기사입력 2022-06-09 14:21:15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정부, '규제혁파' 민간 주도 로봇산업 '활성화'

[산업일보]
산업통상자원부는 9일 로봇산업 활성화 관련 규제 개선사항 발굴을 위해 산·학·연 전문가들이 주도하는 '로봇산업 규제개선 민간협의체'를 출범시켰다.

정부는 이를 바탕으로 관계부처와 로봇산업 선제적 규제혁신 로드맵2.0(이하 로드맵 2.0)을 올해 하반기에 수립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Markets&market의 2021 보고서에 따르면, 로봇산업은 빠르게 성장하는 고성장산업으로 지난해 세계시장은 784억 달러에서, 오는 2026년 1처768억 달러로 2배 이상 성장이 점쳐지고 있다.

각종 규제로 인해 국내 시장형성이 장애가 되지 않도록 선제적 규제개선 조치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번에 출범한 '로봇산업 규제개선 민간협의체'는 산·학·연 전문가들이 참여해 4대 로봇분야(자율주행, 웨어러블, 협동로봇, 안전로봇)를 중심으로 분과를 나누어 기존에 수립한 규제개선 과제를 점검하고 로봇을 활용한 新산업 진출에 장애가 되는 규제사항과 안전기준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날 참석 기업들은 특히 최근 빠른 성장세를 보이는 자율주행로봇과 관련해 기존 규제개선 성과에 더해 로드맵 2.0 추진 등 정부의 발빠른 규제개선 노력에 대한 기대감을 보였다.

LG전자 백승민 상무는 그간 승강기 안전기준 미비로 실내 자율주행로봇의 승강기 탑승이 어려웠던 사례를 소개하면서 지난 3월 로봇 관련 승강기 안전기준을 마련, 실내 배송로봇, 서빙로봇, 방역로봇 등 시장이 확대할 것으로 내다봤다.

배송로봇 스타트업인 뉴빌리티 이상민 대표는 최근 배달로봇 시장 성장세를 감안해 실외 배송로봇의 보도통행을 비롯한 관련 규제 개선의 속도감 있는 추진을 요청했다.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로봇기업이 현장에서 느끼는 규제로 인한 어려움을 해소하고 로봇을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 사업모델을 확장해 나갈 수 있도록 정부는 규제혁파로 뒷받침하겠다”라고 약속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산업 관련 정책과 동향을 전달하기 위해 여러분과 만나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