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가 지자체와 기업을 대상으로 스마트도시 우수사례를 발굴하고 인증하기 위한 2022년 스마트도시‧서비스 인증 공모를 28일부터 약 두 달간 실시한다고 27일 밝혔다.
인증은 '스마트도시법'에 따라 추진되는 사업으로, 스마트 도시인증과 스마트 서비스인증으로 구분된다.
스마트 도시인증은 지자체가 스마트도시로서 충분한 역량을 갖췄는지 평가한다. 평가요소는 ▲시민과 지방 공무원들의 전문성‧혁신성 ▲스마트도시 구현을 위한 제도기반과 추진 체계 ▲스마트도시 서비스나 기반시설 보유 여부 등이다.
국토부는 체계적인 인증제 추진을 위해 평가지표와 인증방법에 대해 2020년 실시한 모의인증 결과를 바탕으로 평가지표와 인증방법 등을 보완해 서울·대전·대구·부천·안양 등 8개 도시에 인증을 부여했다.
서비스 인증은 기업이 개발한 서비스가 ▲도시민의 삶의 질 개선과 도시 경쟁력 제고에 기여하는지 ▲원활한 서비스 운영을 위해 필요한 기술‧기능이 구현되어 있는지 ▲지역 도입‧확산이 용이한지 여부를 심사한다.
국토부는 스마트도시 서비스들이 분야별로 기능‧특성‧규모 등이 상이함을 감안해 지금껏 확산성과가 가장 높은 교통분야 서비스(전체 서비스의 약 44%)에 대한 인증체계를 우선적으로 마련했다. 교통분야 서비스 본인증은 지난해 모의인증을 거쳐 올해 처음으로 실시한다.
스마트서비스 인증 분야는 지속적으로 확대될 예정으로, 올해는 환경분야 서비스에 대한 모의인증이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관으로 추진된다.
스마트 도시‧서비스 인증 공모는 8월 19일까지이며, 평가를 거쳐 9월 중 인증대상이 선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