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초 EU(유럽연합)이 ESG 공급망 실사를 의무화하는 법안을 발표하면서 국내 수출기업에 비상이 걸렸다. 수출기업의 절반 이상이 ESG 경영에 미흡한 실정이기 때문이다.
대한상공회의소(이하 대한상의)가 국내 수출 기업 300개 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수출기업의 공급망 ESG실사 대응현황과 과제’ 조사에 따르면, 향후 원청기업이 ESG 실사를 시행할 경우 계약 및 수주 파기 위기를 느낀다는 기업이 52.2%에 달했다.
문제는 ESG 실사에 대한 대비도 부족하다는 것이다. 전체 중 77.2%가 대비 수준이 ‘낮다’고 응답했는데, 그 중 41.3%는 ‘매우 낮다’고 평가했다. 실사 단계별 대응수준을 묻는 질문에는 ‘대응체계가 없다’고 답한 기업이 58.1%였고, 그 외 27.5%도 기본적인 수준에만 머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의 ESG 경영실 윤철민 실장은 본보와의 통화에서 “특히 중소기업은 대기업에 비해 ESG 실사에 대비할 여력이 부족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ESG 경영과 관련해 집행할 수 있는 예산의 범위에서부터 중소기업은 대기업보다 훨씬 영세하다는 것이다.
이에 윤 실장은 ESG 실사 비용 지원, 협력사 ESG교육 및 컨설팅 비용 지원 등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업종별 ESG 가이드라인을 제공해야 한다는 데 전문가들이 지속적으로 필요성을 제기해왔지만 아직까지 만들어지지 않았다”면서 “정부 차원에서 적극적인 관리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친환경 설비 투자 등 ESG 경영을 통해 수주 선호를 높일 수 있는 만큼 중소기업들도 ESG의 중요성을 많이 인식하고 있다”면서 “지난해에 비해 올해에는 중소기업들도 ESG 전환에 자발적으로 나서는 분위기”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