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인영 의원과 이정문 의원의 주최로 30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국가 수소거버넌스 구축 세미나’가 열렸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바이오가스 기반 그린수소생산 인프라 구축과 함께 수소 국내 조달목표를 무조건 25%로 확정해 공급 안정성을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발제를 맡은 송형운 고등기술연구원 박사는 ‘충주 음식물쓰레기 바이오가스에서 추출한 수소 생산시설 실증 사례’를 국내 첫 그린수소 성공사례로 소개하며, “중장기 수소 수요 급증에 대응해 지역거점형 수소 생산·공급 인프라를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속가능성은 결국 가격경쟁력에서 나온다고 말한 송형운 박사는 “국산화가 많이 됐다고 해도 실제로 들여다보면 핵심기술은 결국 외국산인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소재·부품 면에서 국산화가 높아져야 안정적 운영이 가능하고 이것이 지속 가능성으로 이어진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송 박사는 특히 ‘자립형 상업운전’ 가능여부를 강조했다. “공정 설계와 시나리오를 구축하면서 운영의 안정성에 가장 주안점을 뒀다”며 “잔고장이 없고, 설령 있더라도 충전소 운영이 가능하도록 고민한 결과 그린수소 마더스테이션은 저장식수소충전소, 제조식수소충전소, 수소출하설비를 갖췄다”고 소개했다.
이어 “대기오염물질 배출저감 편익, 온실가스 배출저감 편익 및 연료비 절감 편익 등을 분석한 결과 사회환경적으로 약 19억 원의 가치가 있다”며 “민간의 사업 시장뿐만 아니라 사회 환경적인 가치도 고려해 사업을 확장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전 세계 에너지 다소비 국가 25개국에 대해 분석한 미국상공회의소의 GLOBAL ENERGY INSTITUTE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에너지안보는 1980년 이후 최하위권에 머무르고 있다.
이한우 한국에너지공단 수소경제추진단 단장은 한국의 지리적 특성에 따른 ▲중앙집중형 전력망 ▲미중 패권경쟁지역을 통과해야 하는 대외 의존형 에너지 수급 구조 등을 대외적 에너지안보 결정요인으로 꼽았다.
이한우 단장은 “수소 국내 조달 목표를 무조건 25%로 확정하는 국가 선언이 필요하다”며 “이를 통해 생산기업에게 투자유인을 제공하고 국내에서 필요한 최소량을 상시 확보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연간 1천1백만 톤이 배출되는 하수슬러지·음식물·축산분뇨 등의 유기성폐기물, 연간 1천만 톤이 배출되는 폐플라스틱 처리비용 과정에서 수소를 추출 기술이 에너지자립 관점에서 중요하다 강조됐다.
또 이 단장은 “국회 주도 에너지안보포럼을 결성해 에너지안보 강화전략을 수립 및 평가하고 매년 ‘국가에너지안보 지수’ 평가결과를 발표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