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2@
@IMG3@
@IMG4@
@IMG5@
@IMG6@
@IMG7@
@IMG8@
[산업일보]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이 산업현장 내 인체 발암물질에 대한 노출 규모와 노출 근로자 수를 추정할 수 있는 K-CAREX(Korean CARcinogen EXposure)를 개발해 온라인으로 제공합니다.
‘K-CAREX’는 한국형 산업별 발암물질 노출 근로자 수 추정 프로그램입니다.
연구원이 보유하고 있는 작업환경측정자료, 특수건강진단자료, 작업환경실태조사에서 수집한 빅데이터 분석과 전문가 평가를 통해 특정 발암물질에 노출된 근로자 수를 추정하는 방식입니다.
해당 프로그램은 233개 산업별 20종의 인체 발암물질에 대한 노출 규모와 노출 근로자 수까지 추정이 가능합니다.
노출 기준은 발암물질 노출 이후 고형암의 발현 기간을 고려해 2010년을 기준으로 근로자 규모 및 발암물질 노출분율(%)을 추정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특히 발암물질 간 노출 추정정보를 시각화해 20종의 발암물질별 비교가 용이합니다.
다만, 추정정보는 노출 강도, 공정 및 직종에 대한 정보가 포함돼 있지 않기 때문에 활용 시 제한사항을 고려해야 하며, 해석에도 주의가 필요합니다.
산업안전보건연구원과 가톨릭관동대학교 고동희 교수팀의 협업해 개발한 이 프로그램은 발암물질 노출 실태와 직업성 암에 미치는 영향, 작업환경 관리 효과 예측 등 산업보건 분야에서 직업성 암 예방 정책의 우선순위 선정, 관리에 도움을 줍니다.
또, 산업별 발암물질 추정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업종별 발암물질 노출 규모 실태분석에 필요한 대규모 예산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산업인과 소통하는 산업전문 미디어 ‘산소통’
[산업일보]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이 산업현장 내 인체 발암물질에 대한 노출 규모와 노출 근로자 수를 추정할 수 있는 K-CAREX(Korean CARcinogen EXposure)를 개발해 온라인으로 제공합니다.
‘K-CAREX’는 한국형 산업별 발암물질 노출 근로자 수 추정 프로그램입니다.
연구원이 보유하고 있는 작업환경측정자료, 특수건강진단자료, 작업환경실태조사에서 수집한 빅데이터 분석과 전문가 평가를 통해 특정 발암물질에 노출된 근로자 수를 추정하는 방식입니다.
해당 프로그램은 233개 산업별 20종의 인체 발암물질에 대한 노출 규모와 노출 근로자 수까지 추정이 가능합니다.
노출 기준은 발암물질 노출 이후 고형암의 발현 기간을 고려해 2010년을 기준으로 근로자 규모 및 발암물질 노출분율(%)을 추정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특히 발암물질 간 노출 추정정보를 시각화해 20종의 발암물질별 비교가 용이합니다.
다만, 추정정보는 노출 강도, 공정 및 직종에 대한 정보가 포함돼 있지 않기 때문에 활용 시 제한사항을 고려해야 하며, 해석에도 주의가 필요합니다.
산업안전보건연구원과 가톨릭관동대학교 고동희 교수팀의 협업해 개발한 이 프로그램은 발암물질 노출 실태와 직업성 암에 미치는 영향, 작업환경 관리 효과 예측 등 산업보건 분야에서 직업성 암 예방 정책의 우선순위 선정, 관리에 도움을 줍니다.
또, 산업별 발암물질 추정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업종별 발암물질 노출 규모 실태분석에 필요한 대규모 예산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산업인과 소통하는 산업전문 미디어 ‘산소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