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소상공인 사업체 종사자 수↓ 사업체당 연매출액과 영업이익↑
김성수 기자|kss@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소상공인 사업체 종사자 수↓ 사업체당 연매출액과 영업이익↑

기사입력 2022-12-27 18:34:03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소상공인 사업체 종사자 수↓ 사업체당 연매출액과 영업이익↑

[산업일보]
지난해 소상공인 사업체 수는 11개 업종에 412만 개로 전년 대비 0.2%(1만 개) 줄었다. ‧소매업(-1.6%, 2.2만 개↓), 제조업(-1.0%, 0.5만 개↓) 등은 감소했으며, 교육서비스업(6.4%, 1.1만 개↑), 건설업(3.2%, 1.4만 개↑) 등은 증가했다.

중소벤처기업부와 통계청이 27일 공동 발표한 '2021년 소상공인 실태조사' 잠정 결과에 따르면, 종사자 기준 전년 대비 1.1%(7.7만 명↓) 줄어든 721만 명으로 집계됐다. 제조업(-6.6%, 8.8만 명↓), 예술‧스포츠‧여가업(-2.2%, 0.4만 명↓) 등이 감소한 반면, 교육서비스업(3.1%, 0.9만 명↑), 숙박․음식점업(1.1%, 1.5만 명↑) 등은 늘었다.

대표자 연령 분포는 50대(30.8%, 126.8만 개)가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전년 대비 40대 이상 대표자는 감소한 반면, 20대 이하‧30대는 증가했다. 특히 20대 이하의 증가 비율이 11.7%로 높게 나타났다.

창업동기로는 ‘자신만의 사업을 경영하고 싶어서’가 1순위로 나타났으며, 이는 전년 대비 1.6%p 증가한 수치다. ‘임금근로자로 취업이 어려워서’는 전년 6.8%에서 4.3%로 조사돼 2.4%p 감소했다.

사업체당 평균 창업 준비기간은 전년과 유사한 9.8개월이며, 창업비용은 8천800만 원으로 전년 대비 4.3%(400만 원↑) 많았다. 사업체당 보유한 부채액은 1억 7천500만 원으로 전년 대비 4.2%(700만 원↑) 많아졌지만,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상승했다.

사업체당 연매출액은 2억 2천500만 원으로 2.9%(600만 원↑), 사업체당 영업이익은 39.8%(800만 원↑) 증가한 2천 800만 원이다.

소상공인이 체감하는 경영애로(복수응답)로는 경쟁심화(42.6%), 원재료비(39.6%), 상권쇠퇴(32.0%), 방역조치(15.7%) 등의 순으로 답했다.

이번 잠정 조사결과에 대해 중기부 측은 “지난 2년간 코로나 위기에도 사업체당 매출액, 영업이익이 증가하는 등 소상공인의 경영 여건이 다소 개선된 것으로 보여진다”며 “사업체 수가 소폭 줄어든 상황에서도 20~30대 도전형 창업이 증가한 점은 주목할 만 하다”라고 말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산업 관련 정책과 동향을 전달하기 위해 여러분과 만나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