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자율주행과 미래 모빌리티가 신성장 동력으로 발돋움하고 있다. 글로벌 자동차기업은 관련 기술 및 제품을 개발하는 데 열중이다. 주요국은 법‧제도를 마련하며, 기업 지원과 산업 기반 조성에 나섰다.
한국에서는 정부, 지방자치단체, 기업 등 여러 주체가 자율주행과 미래 모빌리티 산업 활성화를 위해 움직이고 있다.
‘자율주행‧미래 모빌리티’ 나아갈 길, 조성 중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올해 업무계획을 발표하며, 국민 편의와 미래 산업 기반인 교통혁신 실현 등을 올해 핵심 추진과제로 내세웠다. 규제 혁신과 본격적인 실증으로 자율주행과 미래 모빌리티의 조기 안착에 힘쓴다는 계획이다.
국토부는 내년까지 완전 자율주행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구축한다. 제작, 운행 기준, 보험 등에 관한 내용을 정하겠다는 것이다. 제도 도입 전에는 자유로운 운행 및 차량 품질 확인이 가능하도록 성능인증제도를 마련할 예정이다. 조기 상용화를 위한 고속도로 시범주행 지원 등 최적의 실증 환경도 제공한다.
도심항공교통(UAM)은 올해 관련 법 제정, 실증비행 시작 등이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원 장관은 민간과의 협력을 통한 UAM 실증‧시범사업 추진, 규제 특례를 골자로 한 법 제정 등을 수행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일부 지역에선 자율주행 버스 운행 시작
지방자치단체는 자율주행 일부 기능을 탑재한 대형 전기버스 등을 운행하고 있다. 최근 청와대 주변에서 전기 자율주행 버스의 정기 운행을 시작한 서울시 사례가 대표적이다.
라이다(LiDAR), 레이더(RADAR), 비전 센서 등을 부착한 자율주행 버스는 시내버스로 사용되는 차량을 자율주행 목적으로 개조한 것이다. 지난달 22일, 첫발을 뗀 버스는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경복궁역, 국립고궁박물관, 청와대 등 5개 정류소를 순환하고 있다.
서울시는 청와대 주변 14개소 교통신호를 개방해 신호등 색상, 다음 신호까지 남아 있는 시간 등을 자율주행 버스에 실시간으로 제공한다고 밝혔다.
국토부로부터 자동차 안전기준 특례와 임시운행 허가를 받은 서울시는 지난해 11월 청계천에서 세운상가와 청계광장을 오가는 자율주행버스를 선보이기도 했다.
‘자율주행’ 수준 높이고, ‘미래 모빌리티’ 개발하고
현대자동차그룹은 자율주행, 미래 모빌리티 등 신사업 분야 계획을 구체화했다.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은 3일 현대자동차‧기아 남양연구소에서 열린 신년회에 참석해 “자율주행 분야에서는 국내에서 고속도로 자율주행(레벨3)이 가능한 차량을 출시하고, 북미에서는 레벨4 기술이 탑재된 로보택시를 상용화하겠다”고 말했다.
레벨3 수준의 HDP(Highway Driving Pilot) 기능을 탑재한 차량을 올해 상반기에 공개한다는 계획이다. 자율주행 기술을 보유한 기업인 모셔널(Motional)을 통해서는 우버(Uber) 등 차량공유업체와 손잡고 운전자가 개입하지 않는 레벨4 로보택시 서비스를 선보인다는 것이다.
미래 모빌리티는 목적 기반 모빌리티(PBV, Purpose Built Vehicle), 미래 항공 모빌리티(AAM, Advanced Air Mobility) 등이 영역을 확장할 전망이다. 정 회장은 “사람과 사물의 이동 목적에 부합하는 PBV 차량을 본격적으로 시장에 선보이고, 항공 이동 수단인 AAM 프로토타입 기체도 개발해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자로서 리더십도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