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넷제로(net zero)'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됐음에도 실현 가능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
넷제로란 개인이나 회사 등이 배출한 만큼의 온실가스(탄소)를 다시 흡수해 실질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것을 말한다. ‘탄소 제로(carbon zero)'라고도 한다.
포스코 경영연구원의 ‘넷제로, 선언보다 이행이 중요, 아젠다보다 로드맵을 제시해야…’보고서에 따르면, 2050년 이전에 넷제로를 달성하겠다고 선언하는 기업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넷제로 선언과 실현 가능성 사이의 간극이 이슈화되면서, 성실한 공시 및 이행이 규제기관과 투자자 대응에 중요한 요소로 부상하고 있다.
보고서는 미국 전략컨실팅회사 엑센추어의 분석 자료를 인용해 넷제로 선언 기업 중 2050년까지 목표 달성이 가능한 기업은 7%에 불과하다고 전망했다. 2010년에서 2019년까지 연간 9%의 탄소 배출을 감축한 기업만이 목표 달성이 가능하며, 동기간에 연간 5%씩 감축해온 기업은 현재 감축 속도의 2배가 필요하다.
이러한 낮은 실현 가능성과 높은 사회적 요구 사이에서 기업들의 일관성 있는 대응이 어려운 상황이다. 전면에서는 넷제로 활동을 홍보하면서, 이면에는 관련 규제 강화 저지를 위한 로비 활동에 참여하는 일부 기업들의 사례도 있다. 정보 누락이나 모호한 공개로 그린워싱(greenwashing, 위장환경주의)의 의혹을 받기도 한다.
규제당국과 투자자들의 넷제로 이행 압력은 점차 강해지고 있다. 정부는 법률적 제재를 통해 넷제로 이행 압력을 권고에서 단속 수준으로 강화했고, 금융 감독기관들은 글로벌 표준 ESG 공시 기준을 제정해 넷제로 이행 현황 공시를 요청하고 있다. 글로벌 투자자들은 리스크 관리 목적으로 넷제로 달성 로드맵 및 구체적 실적 공개를 요구한다.
이 같은 이유로 보고서는 무조건적인 넷제로 선언은 더 이상 의미가 없다고 짚었다.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방법론 및 단기 목표를 제시해야 그린워싱 의혹으로 인한 불이익 예방이 가능하다는 것.
때문에, 기업은 넷제로 달성을 위한 현실적인 중간 목표 및 사업 모델을 확보하고, 전사 차원의 표준화된 데이터에 근거한 관리가 이뤄져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 넷제로 관련 정보가 기업가치 산정에 긍정적으로 반영되고 그린워싱 의혹으로 인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대외 커뮤니케이션을 검토해야 한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