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전 세계적으로 친환경에 대한 요구가 거세짐에 따라 우리나라 역시 ‘탈탄소’의 흐름에서 독자적인 행보를 걷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탈탄소의 주요 축인 재생에너지 분야가 아직 선진국에 비해 온전히 자리를 잡지 못한 상황이고, 최근 다시 부상하고 있는 원전의 경우 한동안 폐기되다시피 했기 때문에 정상수준으로 복구에 시간이 필요한 상황이다.
‘22대 내일의 공공과 에너지, 노동을 생각하는 의원 모임’은 이와 관련해 ‘2024 탈탄소 정책토론회-탈탄소 전력정책 성공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25일 국회에서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의 발제자로 나타선 국회 입법조사처 유재국 조사관은 ‘탈탄소 정책비용 분석과 정부의 역할’이라는 주제의 발표를 통해 최근의 재생에너지 흐름을 참석자들과 공유하고 재생에너지 분야의 연착륙을 위한 정부의 지원 방안을 제시했다.
대표적인 재생에너지원인 태양광과 풍력에 대해 유 조사관은 “최대부하를 저감시키는 효과보다는 최저부하를 하락시키는 효과가 더 크다”며 “경제적인 효과보다는 계통운영에 부담을 줄 수 있으며, 2분기 봄철의 최저부하 저감과 최대부하 저감에 기여하는 태양광과 풍력의 영향이 가장 크다”고 설명했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태양광과 풍력은 부하율을 일부 낮추는 효과가 있으며, 2022년 기준으로 최대부하 삭감에 2만㎿의 태양광과 풍력이 중앙집중형 발전기 1천㎿급 2기의 효과를 내고 있는 상황이다.
유 조사관은 이날 발표에서 재생에너지 설비가 최저부하보다 높아질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과잉발전과 페란티 현상 발생에 대한 우려를 전하기도 했다.
페란티 현상은, 가압은 돼으나 개방된 송전선로의 양단 사이에 일어나는 전압상승 현상을 일컫는 말로 유 조사관은 “어느 지역에 교류발전기는 거의 없고 송전선로가 많이 분포된 경우 다른 지역에서 전력을 공급받게 되는데, 이 지역의 소비전력이 작아지면 송전선로의 무효전력 생산량이 무효전략 소비량보다 많게 돼 전압이 상승한다”며 “과전압을 해소하려면 동기조상기를 설치하는 것이 효과적이지만 비용이 크다”고 언급했다.
덧붙여 그는 “태양광발전 설비가 많은 지역에서 페란티 전압상승과 유사한 형상이 나타날 수 있다”며 “태양광이 배전단에서 보지자 부하를 차감해 부하가 낮아질 수 있는데, 이는 무효전력 소비 기회를 뺏어가는 것과 같은 효과”라고 강조했다.
“탈탄소는 의지와 행정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 기술 기반의 혁신”이라고 설명한 그는 “향후 24시간 전기를 소비하는 데이터센터 등의 기저부하 설비 증가를 대비하는 동시에 계통 붕괴를 막기 위한 방안 마련과 인구감소로 인한 전력 수요 감소의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한다”고 힘주어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