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일보]
AI시대를 맞이하면서 전세계적으로 가장 각광받는 기업인 엔비디아(NVIDIA)가 모든 산업계에 AI에이전트를 구축하도록 하는 것이 자사의 지향점이라는 점을 천명했다.
엔비디아의 젠슨 황 CEO는 한국 시간으로 7일 오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5의 기조연설자로 나서 이와 같은 주장을 펼치는 동시에 AI시대에 걸맞은 자사의 새로운 GPU모델들을 소개했다.
젠슨 황 CEO는 이 자리에서 “머신 러닝은 모든 애플리케이션의 구축 방식과 컴퓨팅 방식, 그리고 그 너머의 가능성을 바꾸어 놓았다”며 “인공지능을 실현하기 위해 지포스(GEFORCE)를 사용했고 인공지능은 다시 지포스에 혁명을 일으키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의 AI분야의 발전에 대해 젠슨 황은 '스케일링 법칙‘을 기반으로 설명을 이어갔다. 그는 “스케일링 법칙에 따라 AI모델은 더욱 효과적이고 강력해질 것이다. 이미 인터넷에서는 매해 전년 대비 2배 더 많은 데이터를 생성하기 때문에 AI가 학습하는 데이터가 많아지는 만큼 이에 따른 AI의 고도화도 빠르게 이뤄질 것”이라고 언급했다.
젠슨 황 CEO의 설명에 따르면, 현재 사용되는 AI들은 사전 훈력에서 사후 훈련, 테스트 시간 스케일링 등의 여정을 거치고 있다. 이 중 테스트 시간 스케일링의 예로 에이전트 AI를 들 수 있는데, 에이전트 AI는 사용자와 상호작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도구를 사용하고 생성형 AI를 스스로 이용하기도 한다.
젠슨 황 CEO는 “산업계가 에이전트 AI를 구축하도록 돕는 것이 엔비디아의 지향점”이라고 언급한 뒤 “기업고객에게 직접 진출하는 것이 아니라 IT생태계의 소프트웨어 개발자와 협력해 새로운 기능을 가능하도록 엔비디아의 기술을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AI라이브러리를 통해 이를 구현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젠슨 황 CEO는 이 자리에서 자사의 새로운 AI가속기인 '블랙웰' 기반의 '지포스 RTX50' 시리즈를 공개하기도 했다. RTX 50 시리즈는 9천200만 개의 트랜지스터를 탑재했으며 초당 3천352조 번(4000 AI TOPS)의 AI 연산이 가능하다.
한편, 젠슨 황 CEO는 RTX50 시리즈를 소개하면서 해당 제품에 미국의 마이크론 제품이 탑재됐다고 언급해 일각에서 제기됐던 삼성전자나 하이닉스의 제품 탑재 가능성이 무산되는 아쉬움을 남기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