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일보]
최근 중국이 생성형 AI의 원조 격인 챗지피티(Chat GPT)보다 훨씬 저렴한 가격으로 제작한 딥시크(DeepSeek)를 개발하면서 생성형 AI 시장이 다시 격랑 속으로 빠져드는 모양새다. 이 과정에서 낮아진 개발 및 제작 비용이 수익성의 개선으로 이어질 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되고 있다.
최근 한화투자증권이 발표한 ‘AI가 저렴해진다면, 누가 돈을 벌까’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딥시크 모델 공개 이후 성능 및 비용 등에 대한 갑론을박이 오가고 있는 상황이다. 일반적인 소비자들의 경우 서비스 접근이 편리하고 내 의도에 맞는 솔루션을 얻는 것이 제작비용의 절감보다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보고서의 내용에 따르면, AI 모델의 가격은 점차 낮아지고 있고 이를 활용 할 수 있는 사이드에서의 수익 창출 기회는 이제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그간 기존 LLM은 빅테크들의 전유물 이었고, 생성형AI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막대한 연산 자원과 고성능 GPU가 필수적이었지만 이번 딥시크의 개발은 소프트웨어 기업들이 더 적은 투자로도 AI모델을 운영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 셈이라고 해당 보고서에서는 언급하고 있다.
해당 보고서를 작성한 한화투자증권의 김소혜 연구원은 보고서에서 “딥시크 이슈는 이제 시작이라고 본다”며 “고성능 AI모델의 등장과 더욱 낮아질 비용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고, 오픈소스 생태계 경쟁이 시작되면, 앤드 솔루션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기업은 이를 저렴하게 골라서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김 연구원의 설명에 따르면, 국내 기업들은 공개된 모델을 기반으로 추가 독점 데이터를 활용해 이 오픈소스 모델을 훈련하고 미세 조정할 수 있는 기회를 창출할 수 있으며, 개인화된 검색 및 추천, 콘텐츠 제작과 같은 분야에서도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
덧붙여 김 연구원은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기업들은 단일 사업자의 생태계에 얽매이지 않고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맞게 모델을 미세 조정할 수 있다”며 “자체적으로 AI 기반 제품을 개발해 주요 클라우드 AI 공급업체에 대한 의존도를 줄일 수 있는 긍정 효과도 크다”고 해당 보고서를 통해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