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W 2025 산업지능화 컨퍼런스] 시제, AI 기반 스마트팩토리로 노동집약적 산업 리쇼어링 선도
김우겸 기자|kyeom@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AW 2025 산업지능화 컨퍼런스] 시제, AI 기반 스마트팩토리로 노동집약적 산업 리쇼어링 선도

기사입력 2025-03-17 17:19:25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산업일보]
AI 기술이 노동집약적 산업의 생산성을 높이고, 해외로 이전했던 제조업의 리쇼어링을 촉진하는 핵심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다.

시제(SIJE) 신인준 대표이사는 3월 13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25 산업지능화 컨퍼런스에서 '노동집약적 산업의 리쇼어링'을 주제로 발표했다. 'DX to AX - 산업 AX(AI Transformation)로 가는 여정'을 주제로 열린 이번 컨퍼런스는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AW 2025)과 함께 진행됐다.

리쇼어링과 노동집약적 산업 변화
신 대표는 노동집약적 산업이 저임금 국가로 이전하는 오프쇼어링(offshoring) 현상을 지적하며, "국내 제조업이 지속 가능한 경쟁력을 확보하려면 단순한 비용 절감 전략을 넘어 스마트팩토리를 활용한 생산성 향상과 부가가치 창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기존 생산라인에서 500명이 투입되던 공정을 자동화 시스템을 적용하면 250명만으로 동일한 생산량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생산성이 두 배 이상 향상된다"며, "AI와 데이터 기반 스마트팩토리 구축이 리쇼어링을 실현하는 핵심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AI와 데이터 통합을 통한 제조 혁신
리쇼어링을 가능하게 하는 요소로 AI 기반 데이터 통합 솔루션이 제시됐다. 기존 자동화 시스템과 달리, 스마트팩토리는 생산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분석해 지속적인 최적화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갖는다.

[AW 2025 산업지능화 컨퍼런스] 시제, AI 기반 스마트팩토리로 노동집약적 산업 리쇼어링 선도
시제(SIJE)의 신인준 대표

신 대표는 "노동집약적 산업에서는 작업자의 숙련도와 작업 속도가 일정하지 않아 기존 방식으로는 생산성을 정확하게 예측하기 어렵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실시간 생산 모니터링, AI 분석, 산업용 메타버스 기술을 결합한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변동성이 큰 생산 환경에서도 실시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정 효율성을 높이고, 생산 최적화를 자동화하는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스마트팩토리 도입이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
노동집약적 산업의 대표적인 사례로 의류 제조업이 언급됐다. 신 대표는 "기존의 수작업 중심 방식에서 벗어나 AI 기반 자동화 솔루션을 도입하면 생산 속도를 최적화하고, 품질 관리 자동화와 제조 원가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반복적인 작업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줄이고, 공정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해 최적의 작업 방식을 도출할 수 있다"며, "AI 기반 딥러닝 기술을 활용하면 작업자의 실시간 생산 데이터를 분석해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디지털 전환과 리쇼어링 전망
제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단순한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나 PLM(Product Lifecycle Management)을 넘어 실시간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지능형 솔루션이 필요하다는 점도 강조됐다.

그는 "리쇼어링을 통해 국내 제조업이 다시 경쟁력을 갖추려면 AI와 데이터 기반 자동화 기술이 필수적"이라며, "시제는 실시간 생산 정보를 시각화하고, 공정 분석 및 최적화를 자동화하는 솔루션을 개발해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기술을 활용한 효율적인 생산 관리를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스마트팩토리 기반 리쇼어링 확대 기대
이번 발표에서 시제는 노동집약적 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리쇼어링을 위한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했다. AI와 데이터 분석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팩토리 구축이 제조업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임을 강조하며, 글로벌 시장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적 해법을 제안했다.

신 대표는 "기술 발전은 노동자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노동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더 나은 근무 환경을 조성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며, "시제는 AI 및 데이터 중심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통해 국내 제조업이 새로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국제산업부 김우겸 기자입니다. 산업인들을 위한 글로벌 산업 트렌드와 현안 이슈에 대해 정확하면서도 신속히 보도하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