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재생에너지 활용이 에너지 분야의 전 세계적인 이슈로 자리잡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서 운영되고 있는 해상풍력의 효율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계통연계를 고려한 장기적인 계획이 수립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COP의 홍정우 상무는 24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25 풍력발전 네트워킹 세미나’에서 주제발표를 맡아 위와 같은 주장을 펼치면서 국내 해상풍력발전의 계통효율 고도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해상풍력 발전을 위한 그리드-계획‧건설‧운영에 대한 방안 및 제언’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 홍 상무는 “9차 송변전설비 계획의 프로젝트는 어느 정도 진행됐으나, 10차 프로젝트들은 아직 초기단계”라며 “한전의 11차 장기송변전설비계획에 따르면, 서해안 HVDC(대용량 전기 장거리 송전 기술)는 특정 재생에너지와의 직접 접속보다는 전력 과잉 지역의 송전 부담 완화를 목적으로 하며, 수도권과 호남을 잇는 총 8GW규모로 변경됐다”고 말했다.
홍 상무는 이 자리에서 ‘U자형 고속도로와 해상풍력 연계’개념을 소개하기도 했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서해안을 따라 해상풍력을 U자형 전력망에 연계해 호남권 재생에너지를 수도권 등 수요지로 송전하는 것이 이 개념의 골자다.
홍 상무는 이 개념을 언급하면서 “현재는 해상풍력이 전력망에 접속하기 위해 개별 양육 케이블을 통해 한전 변환소갂지 직접 연결해야 하며 해저 및 지중 케이블 공사가 필수적”이라고 단서를 달았다.
그는 현행 계약 전력에 대해 “기존의 화력발전이나 태양광, 육상풍력 등은 발전설비와 접속점이 근거리에 있어 발전기 정격 용량과 접속점 최대 전력의 차이가 없어 관행적으로 문제가 없었다”며 “해상풍력과 관련해 계통 포화 측면이 아닌 제한된 영토 내에서 에너지 최적화 측면으로 접근해 계약전력과 발전기의 정격 용량을 다르게 적용하는 것을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해저케이블의 교차에 대해 홍 상무는 “해상풍력의 개발이 진행됨에 따라 전력케이블이나 통신케이블, 파이프 등과 발전용 케이블이 교차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상호 간섭 및 운영의 복잡성을 낮춰야 한다”고 지적한 뒤 “케이블 포설을 고려한 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하는 동시에 유관기관 사이에도 케이블 교차에 대한 개발사간의 협의를 지원해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