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AI(인공지능) 서비스에 최적화된 네트워크는, ‘플렉서블(flexible)’한 네트워크여야 한다”
삼성전자의 최성현 부사장이 ‘AI G3 도약을 위한 6G·AI 네트워크 정책 토론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번 행사는 국회 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19일 진행됐다.
최 부사장은 “벤더사의 주 관심사는 고객사에 수익 창출이 가능한 제품을 공급하는 것”이라며 “통신망 운영을 자동화할 수 있는 ‘AI 자율 네트워크’가 ROI(투자수익률)가 높은 제품이라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전통적인 통신 알고리즘에 AI를 접목해 성능을 개선하는 방법도 눈여겨 보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그는 “AI를 원활히 서비스하기 위해선 네트워크 혁신이 중요한 과제”라며 “기존의 하드웨어 중심 네트워크로는 새로운 AI 서비스에 즉각적인 대응이 어려워, 유연성 있는 네트워크가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가상화 소프트웨어 기반의 ‘오픈랜(Open RAN)’ 네트워크가 AI에 최적화돼 있고, 미래 변화에도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식이라고 생각한다”라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AI-RAN(AI 기지국)’으로 전환을 준비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KDB미래전략연구소의 ‘오픈랜(Open-RAN) 현황 및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오픈 랜은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양한 제조사의 장비와 소프트웨어의 혼합 연동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장비 간 호환성 부족으로 소수 제조사가 독점해 온 기존 무선통신망 시장의 경쟁을 활성화하고, 특정 국가 장비에 대한 의존도를 완화할 수 있어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