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POLICY]_‘장비산업 자립화’가 살 길이다
안영건 기자|ayk2876@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POLICY]_‘장비산업 자립화’가 살 길이다

신성장동력 장비사업 육성, 경쟁력 확보

기사입력 2011-09-23 00:01:37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산업일보]
지식경제부는 ‘신성장동력장비심의위원회’를 개최해 신성장동력 7대 장비를 개발하는 올해에도 신성장동력장비 경쟁력강화사업 지원대상과제와 사업수행자를 최종 선정했다.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LED, 그린수송, 바이오, 의료, 방송장비가 주 대상으로 반도체 공정용 패턴 미세 오정렬 측정장치 개발 과제(사업수행자:(주)오로스테크놀로지)를 비롯해 총 19개 지원대상과제 및 사업수행자를 선정해 올해 총 240억원을 지원하며, 이에 앞서 지난 7월에 예비사업자를 선정한 바 있다.
신성장동력장비경쟁력강화사업은 신규 R&D 지원사업으로 신성장동력 제품산업과 자립화가 미약한 장비산업의 균형발전을 위해 7대장비를 대상으로 장비상용화와 공통핵심기술개발을 지원하게 된다.

장비상용화 기술개발 분야
글로벌 경쟁력을 보유한 국내업체가 구매 가능한 수요연계형 장비(반도체,디스플레이,LED,그린수송), 향후 시장선점 가능성이 큰 수요창출형 장비(바이오,의료,방송)로 나누어 과제별로 3년까지 지원한다.

공통핵심 기술개발 분야는 여러 장비에 활용이 가능하고 기술개발 이후 기술 이전을 통해 기업에서 활용 가능한 기술을 개발하며 5년까지 지원되고 지원 첫해인 ‘11년도 지원과제는 신성장동력, 융합 등 거시정책 방향과 함께하면서 조기 성과 창출에 초점을 두어 단기 상용화 가능 장비를 중심으로 선정했다.

최초 장비통합 지원사업인 만큼, 7대장비 분야간 시급성, 중요도 등을 고려한 예산의 전략적 재원배분을 실시, 야별 칸막이 제거, 기존기술 중심에서 시장수요 중심의 과제기획으로 전환, 모집공고 후 경쟁기획 실시를 통해 우수과제 선정과 공정성을 확보토록 하고 실질적인 상용화 성과 창출로 연결되도록 수요기업의 구매확약, 과제참여에 가점을 부여했다는 게 정부관계자의 설명이다.
비상용화 기술개발 분야에 선정된 지원대상과제는 장비기업이 주관을 맡고 수요기업이 참여해 조기 상용화 성과 창출에 지원 초점을 두었다고 덧붙였다.

반도체 분야
지원대상과제로 10나노/20나노급 반도체 공정용 패턴 미세 오정렬 측정장치 개발 과제(사업수행자: (주)오로스테크놀로지)를 선정, 삼성전자, 동부하이텍 등 반도체 전문생산기업이 수요기업으로 참여할 예정이다.

디스플레이 분야
지원대상과제로 8세대 이상급 초대면적 Air Floating Coater 개발 과제(사업수행자 : 디스플레이 장비업체인 (주)나래나노텍)와 TFT-LCD용 10세대 이상급 초대면적 PECVD 장비개발 과제(사업수행자 : 디스플레이 장비업체인 주성엔지니어링(주))를 선정, LG디스플레이가 수요기업으로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

LED 분야의 경우 지원대상과제로 LED패키지 인라인 자동화 시스템 개발과제(사업수행자: 우리에이텍(주))를 선정, 우리 LED(주), 루미마이크로(주)가 수요기업으로 참여할 예정그 외 고속 측정 및 분류장치, 패턴 검사장비, 레이저 lift-off장비, 스크리닝 및 가속수명 시험 장치 개발 등 4개 과제와 사업수행자를 선정했다.
그린수송 분야 지원대상과제로는 주로 선박 엔진블럭 등 대형 부품 가공을 위한 초대형 플로워타입 보링 머신 개발과제(사업수행자 : 대형공작기계 전문기업인 한국정밀기계(주))를 선정, 현대 및 두산중공업 등이 수요기업으로 참여할 예정이다.

바이오 분야 지원대상과제로 대용량의 바이오시료에 대한 다양한 측정이 가능한 형광분석기 기반의 다기능 복합형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 개발과제(사업수행자:(주)마이크로디지탈)를 선정하였고그외 ‘초고감도 라만 검색기’,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기’ 등 2개 과제 및 사업수행자가 대상이 됐다.

의료 분야 지원대상과제로 인체용 수면 무호흡을 방지하기 위한 양압호흡기 개발과제(사업수행자:(주)맥아이씨에스)를 선정하였으며 미국에서 이미 임상 실험을 거쳐 상용화된 장치로 국산화를 성공할 경우 국내 많은 수면무호흡증 환자들에게 희소식이 될 것임또한 MRI 융합형 영상 진단치료 장비 개발과제(사업수행자 : 케이에이티(주))도 지원에 포함됐다.

방송 분야는 다중화기 및 익사이터 개발과제(사업수행자 : (주)루먼텍)를 선정했으며 또한 지상파 방송 송신을 위한 2.5kW급 지상파 DTV 멀티모드(ATSC/DVB-T) 송신기 개발과제(사업수행자 : 진명통신(주))도 선정, 방송사(KBS, MBC, SBS)가 수요기업으로 참여키로 했다.

中企 육성, 대외경쟁력 확보
공통핵심 기술개발분야에는 2개의 지원대상과제가 해당된다.
레이저를 활용한 장비에 사용가능한 ‘고출력 저손실 광섬유 레이저 공통핵심 기술개발과제’(사업수행자: 광주과학기술원)를 선정, 경상대, 서울대, 광기술원, 생기원이 함께 개발에 참여하고 정밀한 움직임을 구현하는 핵심기술인 ‘미세진동 제어를 고려한 초정밀 위치결정 기술개발’과제(사업수행자: 한국생산기술연구원)도 선정, 고려대, 아주대, KAIST 등 대학과 엘지전자 등 회사, 산업기술시험원이 참여한다.

핵심장비의 국산화를 통해 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동차, 조선 등 우리나라 주력산업의 해외장비 의존 탈피는 물론 완제품 제조업 성장에 비례해 해외 장비 수입이 늘어나는 ‘성장의 딜레마’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 방안이 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최근 일본대지진에 따른 장비수급 불안에 따른 피해 등 향후 핵심장비의 해외의존에 의한 리스크를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번 사업을 통해 장비전문 중견기업을 육성함으로써 완제품-부품소재-장비로 이어지는 제조기반 지원체계를 완성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향후 정부에서는 그동안 지원이 미비했던 장비분야에 대한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외산 장비에 의존했던 반도체, 디스플레이, LED 공정분야 및 의료분야 등의 장비 국산화를 가속화 시킴으로써 관련 장비를 개발하는 중소기업의 육성 뿐만 아니라, 완성품 업체의 대외 경쟁력 확보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산업분야 최고의 전문기자를 꿈꾸고 있습니다. 꾼이 꾼을 알아보듯이 서로 인정하고 인정받는 프로가 될 것임을 약속드립니다. ‘The pen is mightier than the sword’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