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기계장비와 철강, 반도체를 중심으로 산업용 전력판매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윤상직)에 따르면 4월 전력판매량은 전년동월대비 1.3% 증가한 390.1억kWh를 기록했다.
평년 수준의 기온에도 불구하고 수출 증가(0.4%↑) 영향 등으로 전력수요가 소폭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주요업종 전력판매증감률(전년동월대비, %)을 보면 철강(0.1), 반도체(3.9), 화학제품(2.0) 자동차(2.6), 기계장비(3.5), 섬유(-0.4), 석유정제(-0.2), 조립금속(3.6), 펄프종이(3.4) 등으로 집계됐다.
용도별로는 산업용(3.1%)이 증가세를 회복한 가운데 일반용(-0.8%)과 주택용(-0.3%)은 소폭 감소세를 보인 반면, 교육용(2.3%), 농사용(7.2%)은 증가했다.
한편 4월 전력시장 거래량은 전년동월대비 4.6% 증가한 378.6억kWh로 마감했다.
월간 최대전력수요는 6,487만㎾(4.2일 10시)로 전년동월대비 0.7% 증가했으며, 최대 전력수요 발생시 전력공급능력은 7,023만㎾로 공급예비력(율)은 535만㎾(8.3%)를 유지했다.
계통한계가격(SMP)은 전년동월대비 3.2% 상승(158.2원/kWh→163.3원/kWh), 정산단가는 3.8% 하락(100.9원/kWh→97.0원/kWh)했다.
SMP 상승은 유류의 시장가격결정비율 증가와 LNG 연료비 상승에 기인한다.
정산단가 하락은 SMP 상승에도 불구 LNG를 제외한 연료비의 큰 폭 하락이 원인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