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9월19일]비쳘금속, 중국의 저가 매수에 힘입어 상승(LME Daily Report)
나재선 기자|inspi06@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9월19일]비쳘금속, 중국의 저가 매수에 힘입어 상승(LME Daily Report)

기사입력 2013-09-19 09:02:45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9월19일]비쳘금속, 중국의 저가 매수에 힘입어 상승(LME Daily Report)

[산업일보]
18일(현지시간)
LME(런던금속거래소)
- 중국의 저가 매수세 전기동 상승 견인
- 중국 부동산 시장 과열 지속
- 1~7월 세계 아연 시장, 공급 우위 반면 납 시장 공급부족
- Rusal, 러시아 서부 지역 제련소 추가 폐쇄 예정
- 미 연준, 0.25% 금리 동결 및 850억 달러 자산매입 규모 현행 유지


전일 FOMC 회의를 앞두고 큰 움직임을 보이지 않았던 비철금속 시장. 아시아 장 개시 후 조심스런 움직임을 보이는 듯했으나 최근 7,000달러 위에서 지지를 받았던 전기동은 결국 중국의 저가 매수 세력의 유입에 따라 상승 탄력을 받기 시작했다.

또 주택 경기 지표의 호조 및 19~20일 양일 간의 중국 휴일을 앞둬 숏 커버링에 상승한 상해 전기동 가격 상승 등에 힘입어 기타 금속들의 가격 상승을 견인하며 1.54% 증가한 7,184달러에 마감했다.

지난 6월 이후 7% 수준의 상승을 기록하고 있는 전기동은 중국 및 세계 경기의 개선에 힘입은 바다 크다. 반면 기타 위험 자산들의 상승 분에 비해 저조한 것도 사실이다. 이러한 탓에 금일의 중국 전기동 및 비철금속 매수세 유입은 당연한 듯 보인다.

중국 신규 주택가격 상승은 8.3%(이전 7.5%)를 기록하며 향후 산업재 수요 증가를 예상케 하며 가격 호재로 작용했다. 반면 이는 7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어 정부의 부동산 과열 억제 대책을 유발할 수 있고 새로운 정책이 나올 경우 단기적인 비철금속 가격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

ILZSG에 따르면 지난 1~7월간 세계 아연 시장은 7만 톤의 공급 광인, 세계 납 시장은 4만1,000톤의 공급 부족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경기 개선에 다른 배터리 수요 증가 전망과 함께 공급 부족이 더해져 납은 1.42% 증가로 전기동 외에 가장 큰 상승을 기록했다. 한편 금년도 이미 35만톤의 capa를 줄인 러시아 Rusal 사는 알루미늄 가격의 저조함 탓에 서부 제련소들의 추가 감축 및 폐쇄를 할 예정으로 나타났다.

장 마감 후 미 연준 FOMC 회의 결과에서 금리 동결과 자산매입 규모 유지가 선언됐다. 시장의 예상과 반대 결과로 이는 경제 성장 및 고용 개선이 고르지 않은 탓으로 나타났다. 이에 Comex 전기동의 경우 3%에 가까운 상승을 보여 명일 LME 비철금속 역시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 자료 : NH농협선물
* 본 자료의 내용에 의거해 행해진 일체의 투자행위 결과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