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OUTLOOK] 산업자동화 힘입어 부상하는 중국 산업용 로봇시장
조명의 기자|cho.me@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OUTLOOK] 산업자동화 힘입어 부상하는 중국 산업용 로봇시장

연평균 35%의 높은 성장률 기록 중

기사입력 2013-11-20 00:01:00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OUTLOOK] 산업자동화 힘입어 부상하는 중국 산업용 로봇시장
2012~2015년 중국 산업용 로봇시장 수요 및 전망 (단위 : 대)


[산업일보]
최근 임금 상승과 인력난을 겪고 있는 중국 제조업체들을 중심으로 산업용 로봇의 도입이 빨라지고 있다. 중국의 비야디, 폭스콘과 같은 대형 제조기업들이 산업설비 자동화와 무인생산 시스템을 도입하면서 산업용 로봇 구매가 증가하고 있는 것.

이에 중국 정부는 로봇산업에 정책적인 지원을 늘려 융자지원과 보조금정책을 추진하고 로봇 관련 프로젝트에 투자를 늘리는 등 로봇산업을 적극 육성하고 있다.

중국에서 산업용 로봇은 자동차, 전자 업종에 주로 사용돼 왔으나 최근 기술 발전으로 군사, 의료 분야로 사용범위가 확대되는 중이다. 지난해 중국 산업용 로봇시장에서는 자동용접로봇이 1만600대로 가장 많이 판매됐으며 운반 로봇 및 조립 라인용 로봇도 각각 5,900대, 2,820대 순으로 판매됐다.

국제로봇협회(IFR)에 따르면 중국의 산업용 로봇시장 규모는 최근 5년간 연평균 35% 성장했으며, 지난해 기준 로봇 판매량은 약 2만6,000대를 기록한데 이어 2015년 3만5,000대에 이를 전망이다.

중국 노동인구가 지난해를 기점으로 감소세로 들어가면서 향후 설비 자동화에 대한 수요는 더욱 늘어나고 경영비용의 감소를 위해 중국 대형 제조기업들을 중심으로 로봇으로 인력을 대체하려는 움직임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IFR은 국가별로 제조업 근로자 1만 명당 로봇 사용량을 조사한 결과, 2011년 중국은 21대로 글로벌 평균 55대에 비해 현저히 낮게 나타나 향후 중국 산업용 로봇시장의 발전 잠재력이 큰 것으로 평가됐다.

중국로봇산업연맹에 따르면 중국 산업용 로봇시장의 80%는 외자기업이 차지하고, 일본 및 유럽 기업의 시장점유율이 각각 약 50%와 30%를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낙(FANUC), 야스카와(YASKAWA), 쿠카(KUKA) 등 상위 5개 외자기업의 중국 산업용 로봇시장 점유율은 2012년 기준 약 60%에 달했다.

현재 중국에는 100여 개의 로봇 생산기업이 있으나 대부분 중소 규모다. 중국 로봇기업의 기술력이 낮고 생산한 로봇의 50% 이상이 수입산 부품을 사용하고 있어 기술뿐 아니라 부품의 해외의존도도 높은 편이다.

중국의 대표 로봇기업인 신숭로봇(莘松机器人)은 산업용 로봇의 자주개발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2012년 기준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3.3% 상승한 10억444만 위안(1억6,400만 달러)으로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또한 2016년까지 상하이 푸동 진차오에 12억 위안(1억9,600만 달러)을 투자해 7만㎡ 규모의 생산기지를 건설하는 한편,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계획 중이다.

일반적으로 식․음료산업에서는 분류, 포장, 물류 작업 등의 반복적인 작업이 많아 산업용 로봇을 도입해 자동화를 실현하면 생산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독일의 경우 몇 년 전부터 식품산업에 로봇과 자동화를 도입했고 식품산업용 로봇을 이용해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킨 공장들도 많다. 또 정교한 외과작업을 위해 미국, 유럽 등 선진국에서는 고정밀의 의료산업용 로봇 수요도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현재 중국에서는 해당산업들의 자동화 수준이 낮은 편이지만 앞으로 향후 로봇기술 발전이 중점적으로 이뤄지면서 시장 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