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제주도, 전기차 산업육성에 박차
홍보영 기자|papersong@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제주도, 전기차 산업육성에 박차

전국 최초 전기차 육성 중장기 로드맵 확정

기사입력 2015-09-18 14:00:24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산업일보]
제주특별자치도가 전기차 보급과 산업 육성에 본격적으로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제주도는 2030년 전기차 100% 전환을 위한 전기차 중장기 종합계획(2015~2030)을 전국 최초로 확정해 발표했다.

중장기계획은 단계별·연도별 전기차 보급 로드맵 및 충전 인프라 구축 계획, 전기차 이용 활성화 정책, 연관 산업 육성 정책 등 구체적이고 실현가능한 정책과제 등을 담고 있다.

그동안 제주도는 2011년 전기차 선도도시로 지정된 후 2012년 탄소 없는 섬 제주 전기차 시범도시 기본계획 마련, 2013년 국내 최초 전기차 민간보급 실시 등 전국 최고의 전기차 보급 및 충전인프라 구축, 세계 전기차 모범도시상 수상 등 선도적으로 전기차 보급 정책을 추진해 왔으며, 변화하는 시장 흐름에 맞춰 이를 보완하고 구체화시키기 위해 구체적인 로드맵 마련을 준비해 왔다.

이에 따라 체계적으로 전기차 보급정책을 추진하고 수요자와 공급자 모두에게 예측 가능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정부의 전기차 보급 정책과 연계해 이번 계획을 수립했다.

이 계획은 ‘2030년 탄소 없는 섬 제주 실현’ 비전 달성을 위해 ‘바람으로 달리는 전기차의 글로벌 메카’를 목표로 세우고 전기차의 전 주기 라이프 사이클을 반영한 보급 → 이용 → 재사용 → 가치 확산에 초점을 두고 9대 전략·36개 세부실천과제를 선정했다.

전국에서 처음 수립하는 구체적인 전기차 중장기 종합계획으로 연도별·단계별 전기차 보급 로드맵 제시, 제주 전역 충전인프라 구축계획, 이용 활성화, 전기차 신산업 및 전·후방 연관 산업 육성, 인식개선사업, 전기차 문화 조성 사업 등을 담고 있다.

단계별 전기차 전환 계획으로 1단계 2017년까지 도내 운행 차량의 10%인 29천대, 2단계 2020년까지 40%인 135천대, 3단계 2030년까지 100%인 377천대의 보급 목표를 확정하고 이를 구체화한 연도별 전환 계획도 포함돼 있다.

이 계획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총 2조 549억 원이 투자되는 재정투자계획도 마련됐다.

공공부문은 1조7천348억 원(국비 1만2천831억 원(62.4%), 도비 4천517억 원(22%))으로 84.4%, 기타부문 3천201억 원으로 15.6%를 차지하고, 총 재정투자규모의 82.3%인 1조 6천910억 원이 전기차 보급 사업에 투자될 예정이다.

제주도는 전기차 보급 확대와 산업 육성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 및 환경·경제적 효과가 제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030년 전기차 377천대 보급 시, 총 91만 톤의 CO2 및 대기오염물질 감소효과가 예상되며, 1만1천712억 원의 경제적 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계획을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도 마련했다.

연도별 세부실천계획 수립과 주기적인 추진상황 점검, 재정투자에 따른 사전 절차의 철저한 이행으로 국·도비를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제주도는 “2017년에 2단계 추진계획 중심의 보완계획과 2년 주기로 정부 정책과 환경 변화 등을 고려한 보완계획 수립, 교통, 건축, 세정, 관용차 관리 등 부서 간 협업체계 구축 등 제주를 전기차의 글로벌 플랫폼 구축을 통한 2030 탄소 없는 섬 제주 프로젝트의 완성도를 높여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산업1부 홍보영 기자입니다. 국내외 무역과 로봇, IoT, 기계·금형산업에 대한 참 소리를 전합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