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중소규모 기업체들이 재난안전에 취약점을 드러내는가 하면 산업단지노후화로 인한 안전사고 역시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부좌현 의원(안산 단원을)이 한국산업단지공단(이하 산단공)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산업단지 내 안전사고와 사망자수가 상승 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발생 건수는 2012년 15건, 2013년 32건, 2014년 44건, 2015년 현재까지 27건으로 집계됐다. 사망자수 또한 2014년에 일시적으로 감소하다가 2015년 현재 다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재난안전사고 발생 유형별로 살펴보면, 화재사고가 55건으로 가장 많았고 가스누출 22건, 폭발과 안전사고가 각각 15건 발생했다.
2012년 구미 불산유출 사고와 같은 화학사고도 2012년 6건, 2013년 12건, 2014년 12건, 2015년 현재 10건으로 계속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지역별로는 울산 19건, 여수, 구미 각각 7건, 반월, 시화 각각 5건이 발생했다. 이에 따른 사망자와 부상자는 울산이 15명, 45명으로 가장 많았고 뒤를 이어 구미 10명, 35명, 여수 6명, 73명, 반월시화 4명, 8명이다.
산단공은 ‘산업단지 노후화 및 설비보수 재하청, 중소규모 기업체 재난안전 사고 취약’ 등을 주요 원인으로 분석하고 있다.
부 의원은 “산업단지의 안전사고의 가장 큰 원인은 노후화에 있다”고 지적하고, “노후산업단지에 대한 시설개선 등 구조고도화 지원사업의 조속한 실행이 절실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