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농생명·첨단소재 특화된 ‘전북연구개발특구’
홍보영 기자|papersong@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농생명·첨단소재 특화된 ‘전북연구개발특구’

세계일류 융복합 지식허브 기대

기사입력 2015-11-30 12:31:03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농생명·첨단소재 특화된 ‘전북연구개발특구’

[산업일보]
전북도가 특구 지정으로 인해 2025년까지 2만명 이상의 고용유발, 25억 달러 이상의 수출 증대, 300여개의 신규 기업입주가 이뤄져 7조원 이상의 경제 파급효과를 가져올 전망이다.

미래창조과학부는 12일 전북도청에서 최양희 장관, 송하진 전북도 지사 등 산·학·연 관계자 200여명이 모인 가운데 '전북연구개발특구(이하 '전북특구') 출범식'을 개최하고, 전북지역의 농생명 및 첨단소재 융복합 R&D 역량을 바탕으로 전북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해 '농생명·첨단소재 산업의 세계일류 융복합 지식허브'로 조성하겠다는 비전을 공식 발표했다.

전북특구는 지난 7월 13일 연구개발특구위원회 심의를 거쳐, 8월 12일 확정 고시를 통해 지정이 결정됐다.

전주, 완주, 정읍의 16.3㎢이며, 사업화촉진지구, 농생명 및 소재부품 거점지구 등 3개 지구 내 3개 대학교, 10개 국립 및 정부출연 연구기관과 450여개의 기업이 입주해 있다.

이 날, 출범식에서 전북특구 지정 후 설립된 3개의 연구소기업에 대해 최양희 장관이 등록증을 직접 수여했다.

이같은 성과는 전북특구가 기술사업화 여건이 충분히 조성된 상태에서 특구로 지정됐기에 가능한 일로, 특구 내 첨단방사선연구소, 농업과학원, 식품연구원(이전예정) 등 농생명 융복합 연구개발(R&D)기관과 한국과학기술원(KIST) 복합소재기술연구소 등 첨단소재 R&D기관의 공공연구성과를 토대로 한 사업화 성과가 기대된다.

최양희 장관은 '전북특구는 전북에 농생명과 탄소소재 산업분야의 R&D기관과 기업들이 집적돼 더 큰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정된 만큼, 전북혁신센터 및 산·학·연이 긴밀히 협력해 성과 창출에 노력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산업1부 홍보영 기자입니다. 국내외 무역과 로봇, IoT, 기계·금형산업에 대한 참 소리를 전합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