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이란 바이어들 한국기업에 ‘러브콜’
홍보영 기자|papersong@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이란 바이어들 한국기업에 ‘러브콜’

기사입력 2016-01-19 13:06:06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산업일보]
이란 바이어 90%가 한국산 수입 확대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란이 경제제재가 가시화됨에 따라 현지 맞춤형 물류와 대금 결제 등 다양한 진출 전략이 필요해졌다.

KOTRA에 따르면 이란 바이어 52%는 제재 이후 한국기업과 거래량을 5% 내외로 늘릴 것이라고 답했으며 44%는 한국기업과 교역 규모를 최대 20%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국산 제품 수입 확대를 선택한 이유로 ‘수입 장벽 완화’가 37%의 높은 답을 차지했고 합리적인 가격이 20%, 기존 거래처와 원활한 거래경험이 18%, 품질경쟁력, 한국기업과의 우호적관계가 각각 17%, 7%를 차지했다.

이란은 경제제재 이후 교역상대로 가장 선호하는 나라로 521개사 중 221개사가 EU를 선택했다. 중국은 166개사 한국은 81개사고, 일본은 32개사, 터키가 15개사로 나타났다.

경제제재 장기화로 인한 경기불황으로 중국산이나 터키산 등 저가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는 반면 이란은 전통적으로 유럽 브랜드에 대한 충성도가 높은 시장이고 유럽산을 소비하던 문화가 있어 이란시장 선점을 둘러싼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이 제재 후 이란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는 가격과 품질 경쟁력을 제고 하고, 현지의 물류, 결제 시스템을 고려한 맞춤형 서비스를 개발해야 한다는 시각도 대두됐다. 또한 제품 수출 이후 적극적인 사후 고객 관리서비스, 선적 및 배송기간 단축, 다양한 대금 결제 수단을 제공하는 등 다각도의 시장진출 방안이 필요하다고도 지적됐다.

이란은 큰 잠재력을 가진 국가지만 제재 복원 위험 상존과 투자·법규 제도, 인프라, 외국인 사업 환경 등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아 시장 진출에 있어 따르는 리스크와 정확한 시장정보 파악에도 집중해야 한다는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산업1부 홍보영 기자입니다. 국내외 무역과 로봇, IoT, 기계·금형산업에 대한 참 소리를 전합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