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점차 확산되고 있는 스마트워크를 통해 출산·육아로 인한 여성의 경력단절, 일과 가정의 분리와 같은 심각한 사회적 문제들이 해결될 것이라는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최근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행정자치부(장관 홍윤식), 고용노동부(장관 이기권)가 발표한 ‘2015 스마트워크 이용현황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공공부문 종사자들의 85.8%는 스마트워크센터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스마트워크센터를 이용하는 이유로 출퇴근 시간절약이 71%로 가장 많았으며, 거주지형 스마트워크 센터를 이용할 경우 사무실 출근시간 대비 1시간 이상 절감이 45.7%로 순위를 이었다.
업무측면에서 스마트워크센터 근무는 효율성 증대(80.1%), 업무시간 단축(79.5%)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업무생산성이 30% 이상 높아졌다는 응답이 60%로 조사됐다.
대조적으로 민간부문에서 지난해 스마트워크 이용률은 14.2%로 2012년 대비 3.8%p 증가했지만, 공공부문에 비해 훨씬 저조한 수치를 나타냈다.
사업장 규모가 클수록 이용률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으며, 스마트워크 유형 중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는 것은 모바일 오피스(20.1%)로 나타났다. 원격회의가 11.2%, 재택근무가 9.2%, 스마트워크센터가 5.9%로 뒤를 이었다.
기업측면에서 스마트워크는 사무실 운영과 관리비용 절감(59.5%), 업무시간 단축(54.9%)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측면에서는 출퇴근 시간과 비용 절감이 73.2%, 육아와 가사 시간 확보가 63.6%로 효과가 있다고 집계됐다.
특히, 여성근로자의 경우 스마트워크가 육아와 가사시간 확보에 도움이 된다고 답한 응답자가 64.4%에 이르렀으며, 20대의 60%가 저출산 해소에 도움이 된다고 대답했다.
하지만, 아직 스마트워크 활성화를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
조사에 따르면, 민간부문에서는 스마트워크 도입을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일하는 시간과 개인시간 구분 모호가 18.7%, 대면중심 직장문화가 12.5%, 보안문제가 9.3%로 나타났다.
스마트워크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스마트워크 근무방식이 개선돼야 한다고 응답한 사람이 16.5%였으며, 인프라 구축이 16.4%, 조직문화 개선이 14.3%로 근소한 차이를 보였다.
아울러 공공 스마트워크센터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 이유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없는 조직문화가 55.8%로 가장 많았고,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35.9%로 뒤를 이었다. 스마트워크 확대를 위해서는 조직문화 개선과 기관장의 의지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각각 66.6%, 64.4%로 높은 수치를 보였다.
미래부 송정수 정보보호정책관은 “이번 조사를 통해 스마트워크의 필요성과 기대효과에도 불구하고 민간기업의 도입은 낮은 편”이라고 지적하면서 “ICT 기술 활용으로 스마트워크 확산을 촉진해 기업의 비용절감 뿐만 아니라 일과 가정이 양립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을 다각도로 준비할 것”이라고 다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