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한국전력(이하 한전)이 지하전력구 등 국가 안전대진단 현장을 점검했다고 밝혔다. 한전은 올해 안전예산 2조4천억 원을 투입해 전력분야 안전 인프라 구축에 앞장선다.
한전 조환익 사장은 지난 14일 인천 및 수도권의 전력계통 안전성 확보를 위해 추진 중인 ‘수도권 서부지역 전기공급시설 전력구공사’ 현장을 방문해 ‘국가 안전대진단’ 추진현황을 점검했다.
국가 안전대진단은 현장중심의 안전관리를 위해 정부부처와 지자체, 공공기관, 민관전문가 등 안전관리 핵심주체들이 참여하는 선제적 안전 예방활동이며, 전국의 송전선로 2천217회선, 변전소 821개소, 배전선로9천716회선 등 전력공급설비 뿐만 아니라 통신보안설비 및 대형공사장까지 전력 전반에 걸쳐 지난 2월부터 이달 30일까지 시행 중이다.
조환익 사장은 “안전사고의 원인은 기술적인 문제보다 인적인 문제가 크고 관리자는 작업자의 마음상태까지 확인할 수 있도록 관찰해야 한다”며 “안전 자체가 경영 목표 중 하나이며 안전 분야에 인적·물적 자원을 최우선으로 투입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서울 구로구부터 인천 서구까지의 터널현장은 기존 지하철과 근접시공 구간이 많아 붕괴 및 ‘싱크홀’ 등에 대해 근본적 대책마련을 주문했다.
이번 전력분야 안전대진단으로 보수·보강이 시급한 사항은 즉시 또는 조속한 시일 내에 조치를 완료할 예정이다.
특히 장기사용 설비 대폭 교체, 전력구 비난연케이블 교체, 강도부족 전주 사전 추출 및 전면 교체 등 취약설비 보강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전력분야의 불합리한 적폐나 관행 등 안전관련 법령과 제도의 적정성 등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한전은 국민들이 생활주변의 전력분야 위험요소를 발견해 국민안전처 ‘안전신문고’에 입력하면 한전의 자체 ‘신문고’ 시스템에 접수가 되도록 시스템을 연결시켜 국민들이 제보한 안전 위험요소를 신속하게 처리될 수 있도록 조치했다.
또한, ‘진단→보수·보강→장비·기술개발’의 전 점검과정에 대해 안전예산 2조3천938억 원을 투자해 국가 안전 인프라구축과 안전산업 성장의 선순환구조 달성에 적극 앞장 서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