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수출경기 회복 조짐, 주력 수출품목 전망 밝아
올해 3분기 수출선행지수가 63.9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2분기 대비 8.6p 증가한 것으로 수출 회복세가 기대된다. 이번 수출선행지수는 5분기 연속 기준치를 상회했으며, 2013년 2분기(64.7)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6일 KOTRA에 따르면 수출선행지수는 해외 바이어, 주재상사들의 주문 동향을 토대로 우리나라의 수출경기를 예측하는 지수로 해외 관점에서 보는 우리나라의 유일한 수출전망 지표이다. 수출선행지수는 50 이상이면 지난 분기 대비 수출호조, 50 미만이면 수출부진을 의미한다. 이번 지수는 KOTRA가 지난달 2일부터 16일까지 전 세계 해외 바이어 및 주재상사 2천283명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아대양주(74.5), 북미(69.9), 유럽(62.9), 중국(60.1) 등 대부분의 지역의 상대적인 호조세가 전망됐다. 특히 CIS 및 아대양주 지수가 전분기대비 크게 상승하여 (각각 26.2p, 17.8p) 원유와 원자재 가격 상승 전망으로 자원 수출국 경기가 개선되는 효과를 반영했다. 반면 일본은 석유화학, 철강제품 대한 (對韓) 수입 바이어의 수입 전망이 악화되면서 지수가 하락했다. 일본 수출 감소는 일부 기업의 발주 특성(프로젝트 종료, 계절적인 요인 등)과 일본 대형 정유사 공장 정기 보수로 상반기 대일 석유화학 수출이 크게 증가한 이후 수급 균형을 위한 일시적인 감소로 분석된다.
폼목별로는 한국의 주력 수출 품목 전체가 기준치를 상회하며 3분기 수출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석유제품 및 석유화학 예측지수(각각 39.5p, 23.5p)가 전 분기 대비 크게 증가했다. 반도체의 경우 전 지역의 지수가 기준치(50) 이상을 기록하면서 당분간 반도체의 수출 호조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자동차(50.1)는 국내기업의 해외 생산 확대로 기준치 수준에 머무르는 반면, 자동차 부품(61.4)은 기준치를 상회하며 수출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보조지수는 전반적으로 전분기대비 모두 상승했다. 특히 수입국경기지수는 보조지수 중 가장 큰 상승폭(3.1p)을 기록했고 유럽과 북미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이면서 선진국 경기의 회복세를 반영했다. 가격경쟁력지수는 5분기 연속 기준치를 하회하는 양상이지만 전 분기대비 상승했고, 품질경쟁력지수는 꾸준히 기준치를 상회하고 있다.
윤원석 KOTRA 정보통상지원본부장은 “2017년 상반기 수출이 세계경기 및 교역 회복, IT 경기 호조, 유가 상승 등으로 견고한 성장세를 기록하며 올해 수출증가율 전망치가 상향 조정(6~7%→10%)된 가운데, 3분기에도 대한 수입 바이어들은 한국으로부터 수입을 대폭 늘릴 계획”이라고 전했다. 그러나 “유가의 불안정성, 급격한 통상환경 변화 등이 하반기 수출의 변수로 남아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