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최저임금 인상시 열곳 중 두곳 감원, 다섯곳 신규채용 축소, 두 곳 수용
김민솔 기자|mskim@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최저임금 인상시 열곳 중 두곳 감원, 다섯곳 신규채용 축소, 두 곳 수용

현재 최저임금 대상자 월평균 임금(상여금, 수당 등 포함) 211만원

기사입력 2017-07-31 11:13:24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산업일보]
#. A사 : 외국인근로자와 내국인근로자의 최저임금 차등적용이 필요합니다.

#. B사 : 단기적 임금지원, 세제혜택, 정책자금지원 등으로 기업을 계속 유지할 수 없습니다. 중소기업에서도 대기업에 버금가는 수준의 임금을 근로자에게 주고 싶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반드시 상위 고객사의 납품단가 인상이 뒷받침되어야 하지만 현실은 매년 단가는 인하되는데 반해 최저시급은 급격히 인상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 C사 : 최저임금 인상 폭 만큼 대기업의 납품단가 인하 등 불공정 거래관행이 시정되기 바랍니다.

#. D사 : 정부지원 보조금을 인원수에 관계없이 중소기업 전체에 지원해 주시기 바랍니다.

#. E사 : 지금 현재도 각종 수당과 상여금 등 시급에만 준하는 게 아니기 때문에 상당한 경영에 우려가 되며 일자리가 많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 F사 : 경제 침체가 더 오랫동안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기업은 해외로 더 이동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최저임금 인상시 열곳 중 두곳 감원, 다섯곳 신규채용 축소, 두 곳 수용

내년 최저임금 7천530원 결정 관련, 대체적으로 높다거나 매우 높다고 응답한 기업이 84%나 됐다.

구미상공회의소가 지난 19일부터 25일까지 지역 내 101개 기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최저임금 관련 구미 기업체 의견 조사’에 따르면 내년 최저임금 수준이 올해 대비 16.4%나 인상되는 것이라며 이는 고용감소 뿐 아니라 도산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78.2%는 전체 근로자 임금인상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응답했고, 임금인상 영향 정도는 5~10%미만이 30.4%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10~20%미만(29.1%), 20%이상(19.0%), 3~5%미만(17.7%), 3%미만(3.8%) 순으로 나타나 두 곳 중 한곳은 10% 이상 임금인상이 불가피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임금 인상을 수용가능한 업체는 20.2%에 불과했고, 46.5%는 신규채용 축소, 21.1%는 감원해야 한다고 밝혔으며, 이어 임금삭감(7.0%), 해외이전 검토(2.6%), 사업종료(2.6%) 순으로 답했다. 매년 16.4% 이상씩 급격하게 인상될 경우 고용감소 뿐만아니라 37.7%가 기업의 도산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올해 최저임금(6천470원, 2016년 대비 7.3% 인상)에 대해서는 63.4%가 적정하다고 응답했고 높음 24.8%, 매우높음 1.0%로 높다는 의견은 열 곳 중 세 곳에도 못 미쳤으며, 10.9%는 오히려 낮다고 응답했다. 73.3%가 전체 근로자 임금인상에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으며, 그 정도는 5~10% 미만이 41.3%로 가장 많았고, 10% 이상은 21.3%에 그쳐 내년도 전망과 대조를 이루었다.

올해 경영상황에 대해서는 32.7%가 작년수준이라고 응답했으며, 이어 조금악화됨(30.7%), 조금나아짐(22.8%), 매우나빠짐(13.9%) 순으로 나타나 본격적인 회복국면에 진입하지 못한 가운데 최저임금 대상자의 월평균 임금(상여금, 수당, 성과급 등 포함)은 평균 211만원으로 분석됐다. 30인 미만 199만원, 100인이상 248만원으로 규모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최저임금액 수준의 임금을 지급하는 이유는 51.8%가 단순업무 종사자이기 때문이라고 응답했고, 이어 경영여건상(37.3%), 인건비 절감(7.2%), 최저임금으로도 인력 채용 문제없음(3.6%) 순이다.

최저임금 인상 충격 완화를 위한 정부 지원방안으로는 39.2%가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임금보전 지원을 요구했고, 이어 최저임금 인상분 하도급 납품단가 제도적 반영(22.5%), 최저임금 인상기업 세제혜택 제공(17.5%), 4대 보험료 지원확대(14.2%), 소상공인 정책자금 지원확대(6.7%)순이다.

반드시 개선됐으면 하는 최저임금 제도로는 37.1%가 최저임금 산입범위(상여금, 식대)확대를 원했으며, 이어 업종별·지역별 최저임금 차등적용(26.7%), 최저임금 결정주기 변경(매년→2~3년)(18.1%), 저연령, 고령층 등 연령대별 감액규정 도입(12.1%), 감액대상(수습근로자)과 감액율(10%) 확대(6.0%) 순으로 집계됐다. 이외에도 외국인근로자와 내국인근로자의 최저임금 차등 적용, 정부지원 보조금 중소기업 전체 지원, 불공정 거래관행 시정 등을 언급했다.

구미상의 김달호 경제조사부장은 삶의 질 향상과 소득주도성장을 위해 최저임금은 단계적으로 인상돼야 한다는 것에는 동의하지만 최저임금법에서는 각종 수당과 상여금 등 매월 정기적으로 지급하지 않는 임금은 최저임금에 산입하지 않고 있어 기업의 부담은 실로 엄청나며, 특히 급격한 인상이 아닌 점진적인 인상과 기업 특성과 규모를 고려한 차등 적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산업2부 김민솔 기자입니다.정부 정책 및 3D 프린터, IT, 산업현장 숨어있는 특화된 뉴스를 전해드리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