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정부가 혁신성장을 위해 4대 혁신기반 구축에 정책역량을 모으기로 했다. 창작활동을 통해 혁신적 아이디어를 직접 구현하는 메이커운동 확산을 위한 정책이 본격 추진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일 확대 경제관계장관회의를 개최하고, 혁신성장 추진전략 일환으로 참여형 혁신성장 기반 구축을 위한 ‘한국형 메이커 스페이스 확산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경제 전반에 혁신을 확산하고 창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토대 마련을 위해서다. 한국형 메이커 스페이스를 구축하고 메이커운동의 사회적 저변을 확산하기 위한 것으로, 메이커 활동을 위한 공간 인프라 조성, 메이커 문화 확산을 위한 국민 참여 유도와 네트워크 형성, 사업화 지원을 통한 제조창업 기반 마련을 주요내용으로 담고 있다.
이번에 발표한 '한국형 메이커 스페이스 확산방안'의 구체적인 내용에 따르면 우선 국민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전국에 메이커 스페이스를 조성한다.
일반인의 메이커 교육·체험 등을 위한 일반랩, 전문 메이커의 창작활동을 제조창업으로 촉진하기 위한 전문랩 75개소를 2018년에 조성하고 2022년까지 367개소를 확충한다는 계획이다.
국민들의 자연스러운 참여 유도 및 자발적 네트워크 형성도 촉진된다. 메이커 활동 흥미 유발을 위해 수요자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원·강사·운영인력 양성을 통한 전문메이커 육성에 나선다. 청소년과 일반인 동아리 활동 및 지역별·분야별 융·복합 프로젝트 등을 지원하고, 아이디어 공유, 정보 제공 및 멘토링 등 지원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 구축·운영한다.
정부는 또한 아이디어가 사업화·창업까지 이어지도록 연계하는 등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창조경제혁신센터, TP, 창업보육센터 등 창업지원 인프라와 연계해 디자인·BM 고도화, 창업 멘토링 및 입주공간을 제공한다.
정부는 이번 대책 마련을 계기로 창조적 혁신 성장과 제조창업 저변이 널리 확산될 것으로 기대하는 한편 향후 메이커운동이 활성화되고 나아가 혁신창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정책적인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