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전문가 동원으로 ‘우주산업’ 육성
우주산업 육성 자문위 착수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성장동력 중 하나로 꼽히는 우주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정부는 지난 2월 우주개발 방향을 민간주도형으로 전환하겠다는 방침을 발표한 바 있다. 이에, 앞으로 민간참여를 극대화할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24일, 국내 우주산업을 획기적으로 육성하고 관련 생태계를 조성하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우주산업 육성 자문위(이하 자문위)’를 구성하고 산업계 등 전문가의 현장의견을 수렴하는 절차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그간 국내 우주개발은 20여 년에 불과한 비교적 짧은 역사와 우주산업 선진국에 비해 적은 투자규모를 가지고 있으며, 정부와 출연(연) 중심으로 우주개발이 추진돼 급변하는 흐름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신산업으로 육성해 나가는 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있어 왔다.
이날 회의를 시작한 자문위는 위성, 발사체, 위성활용서비스, 산업정책 등 다양한 분야의 산학 전문가로 구성됐으며, 우주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부사업 추진방식, 출연(연)의 역할, 제도개선, 관련 인프라 확충방안 등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논의했다.
과기정통부는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올해 말까지 ‘우주산업 육성 전략’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과기정통부 최원호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20여 년의 짧은 우주개발 역사에 비해 국내 우주기술 수준은 상당히 진보했다”며 “이제는 정부에만 의존하는 추격형 우주개발에서 탈피해 민간참여를 극대화시켜 선진적 우주개발 생태계를 구축할 시점”이라고 말하고, “다양한 분야로 파급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성장동력 중 하나인 우주산업의 실효성 있는 육성전략을 올해 수립해 혁신성장과 일자리 창출의 발판으로 삼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