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증연계 투자를 받은 기업 중 상당수가 후속으로 민간 투자를 받았으며, 투자유치 규모도 보증연계 투자의 두 배 이상으로 민간투자를 이끌어내는 마중물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보증연계투자규모(1천769억 원)가 법상 한도인 기본재산의 10%에 근접, 투자 지원이 어려운 상황이 빚어졌다.
기술보증기금(이하 기보)의 보증연계투자 총액한도가 2배로 확대된다. 기보가 기술에 대해 기업 보증을 하고 이와 연계해 중소기업의 주식, 전환사채, 신주인수권부사채를 인수하는 투자방식인 보증연계투자 혜택을 받는 기업이 내년에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중소벤처기업부는 기보의 보증연계투자 총액한도를 기금 기본재산의 10%에서 20%로 상향 조정하는 기술보증기금법 일부개정법률안이 지난 5월28일 국회심의를 통과했다며 시행령 개정을 오는 10월 이내에 완료해 중소기업 투자를 확대 지원할 예정이라고 11일 밝혔다.
중소벤처기업부 이재홍 벤처혁신정책관은 “투자총액한도 상향 조정으로 인해, 향후 매년 600억원 규모로 안정적인 지원을 할 수 있게 되고, 수혜기업도 70여개 기업으로 늘어나 민간투자유치가 어려운 창업초기․기술혁신 중소기업의 자금애로 사항이 상당부분 해소 될 것으로 본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