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카드뉴스] 도시재생 뉴딜사업, 현재 지표는?
신수정 기자|sjshin@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카드뉴스] 도시재생 뉴딜사업, 현재 지표는?

‘장기적 사업’ 인식하고 부작용 예측해 보완해야

기사입력 2019-05-03 07:08:53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카드뉴스] 도시재생 뉴딜사업, 현재 지표는?

[카드뉴스] 도시재생 뉴딜사업, 현재 지표는?

[카드뉴스] 도시재생 뉴딜사업, 현재 지표는?

[카드뉴스] 도시재생 뉴딜사업, 현재 지표는?

[카드뉴스] 도시재생 뉴딜사업, 현재 지표는?

[카드뉴스] 도시재생 뉴딜사업, 현재 지표는?

[카드뉴스] 도시재생 뉴딜사업, 현재 지표는?

[카드뉴스] 도시재생 뉴딜사업, 현재 지표는?

[카드뉴스] 도시재생 뉴딜사업, 현재 지표는?

[카드뉴스] 도시재생 뉴딜사업, 현재 지표는?

[카드뉴스] 도시재생 뉴딜사업, 현재 지표는?


[산업일보]
‘2019년 도시재생 뉴딜사업 선정계획’에 따라 올해 상반기 총 22개 지역이 해당 사업지역으로 확정됐습니다. 선정된 22개 지역은 2023년까지 1조 4천억 원이 투자될 예정입니다.

그렇다면 ‘도시재생 뉴딜사업’이란 무엇일까요?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전국 낙후지역 500곳에 5년 간 50조 원을 투입해 해당 지역을 재정비하는 사업을 말합니다.

우리동네 살리기, 주거정비지원형, 일반근린형, 중심시가지형, 경제기반형으로 면적과 지역 성향에 따라 분류해 추진되는데요.

해당 지역에서는 경제 활성화, 지역상권 회복, 지역인근 환경개선, 취약 계층의 주거복지 실현 등 기대효과가 예상됩니다.

반면 부동산 시장의 과열을 야기해 집값 상승, 젠트리피케이션 현상 발생, 단기적 성과 집착으로 인한 단발성 성과 창출 등의 부작용도 발생하고 있습니다.

대규모 투자자금이 지원되는 부분에서는 자금 마련도 함께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정부는 장기적인 사업임을 인식하고 효율적인 성과 창출, 부작용 보완 정책 마련, 지자체와 시민의 적극적 참여 등 올바른 추진방향을 찾아가고 있습니다.

도시재생 뉴딜사업으로 성공적으로 변화될 미래도시를 기대해봅니다.

산업인과 소통하는 산업전문미디어 ‘산소통’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