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차세대 에너지로 태양열, 풍력 등의 신재생에너지가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육지 대신 바다를 활용해 에너지를 생산하는 ‘해상풍력발전’이 주목을 받고 있다. 사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섬나라 ‘일본’이 해상풍력발전의 선두주자로 나서기 위해 발을 내디뎠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의 보고서인 ‘일본, 해상풍력발전에 투자 본격화’에 따르면, 재생에너지원 창출을 위해 일본 정부가 오는 2030년까지 풍력발전 개발을 위한 다양한 지원책을 펼쳐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일본은 2018년 ‘제5차 에너지 계획’을 통해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의 공급 비중을 22%에서 24%까지 확대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풍력발전의 비중은 0.6%에서 1.7% 수준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이 중 해상풍력발전을 통해서 약 82만kW를 발전할 계획이다.
지난해, 일본은 해상풍력발전 활용 부지를 확보하기 위해 해상풍력기 설치에 적합한 ‘촉진구역’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재생에너지해역이용법’을 실시했다.
제1호 촉진지구로 선정된 곳은 나가사키현의 고토시 해역이다. 이 외 아키타현을 포함 세 곳의 해역이 관계자 협의를 통해 올해 여름 촉진 지구로 지정될 예정이다.
일본 풍력발전협회에 의하면, 약 1천만kW의 해상풍력발전기 도입 시 최대 15조 엔에 달하는 경제효과를 창출하게 된다. 신규 고용자 또한 약 9만여 명이 창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때문에 현재 종합건설사, 전력회사 등 풍력 발전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업체들 사이에서 촉진구역 후보지를 두고 발전사업자 자리 경쟁이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다.
종합건설사인 시미즈건설은 해상풍력발전기 건설 사업에 약 500억 엔을 투자할 계획을 밝혔고, 고요건설과 고시마, 요리가미건설 또한 해상풍력발전기 관련 작업선 건조를 위해 185억 엔을 공동 투자했다.
KOTRA의 조은지 일본 오사카 무역관은 보고서를 통해 ‘재생에너지원 창출을 위해 2030년까지 풍력발전 개발을 위한 일본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이어질 계획이다’라며 ‘하지만 고정가격매입제도에 의해, 국가가 발전을 보조하지 않을 경우 풍력산업이 성립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여있는 만큼, 2030년 이후의 상황에 대해서는 정부 정책을 주시하며 살펴봐야 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