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여파로 국내에서 다양한 종류의 비대면 서비스가 생겨나고 있다.
중소기업연구원(이하 KOSBI)에서 발표한 ‘비대면 비즈니스(서비스)의 유형과 활성화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가 전 세계를 강타하면서 우리나라를 비롯해 전 세계 인류는 사람 간 접촉을 피하는 상황이고, 국내외 경제는 예측 불허의 시기를 맞이하고 있다.
코로나19 위기 상황에서 우리나라는 세계적 방역 모범 국가로 인정받는 등 위기를 기회로 삼는 국가적 역량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코로나19 사태로 한국형 디지털 뉴딜에서 ‘비대면 비즈니스(서비스)’를 활성화시켜 코로나19 이후 시대에 대한 대비책과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하고 있다.
비대면 사업 중 배달앱, 공유 주방, 핀테크/테크핀, 마이데이터, P2P 금융 등은 국내에서 최근 몇 년 사이에 중소벤처기업형의 창업이 활발하게 일어난 분야다.
이 외에도 구독 경제, 무인배송, C2C의 인터넷 직거래에서 다양한 형태의 중소벤처 및 플랫폼 창업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GBC(Government[정부], Business[기업], Consumer[소비자]) 모델’에서 B2B 관점은 대․중소기업 간 협력이 긴밀히 이뤄질 수 있는 분야로, 대·중소기업 간 ‘비대면 생산(제조)’과 관련한 기술(R&D) 협력이 중요하다.
비대면 생산은 현재 정부와 대기업 간 공동으로 지원하는 중소·중견기업의 ‘스마트 팩토리’와 연계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중소·중견기업의 자체 공장 자동화를 비롯해 대기업과 비대면(온라인 제조 플랫폼)으로 연동된 생산 시스템의 기술 개발(R&D)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또한, GBC 모델에서 기업·정부·소비자의 각 경제 주체들 간 거래 시 다양한 빅데이터가 생성된다.
정부도 대국민 서비스로 인해 국민과 관련한 빅 데이터를 보유함에 따라, 다양한 차원의 빅데이터 분석이 이뤄질 수 있고 한국판 디지털 뉴딜 사업에서 청년층을 대상으로 빅데이터 분석 능력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을 도입해야 한다고 KOSBI 관계자는 주장했다.
이러한 프로그램을 통해 빅데이터 분석의 전문성을 보유한 청년층들이 ICT, 금융, 유통·물류, 무역 등 여러 산업 분야의 민간 기업들에서 일자리를 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코로나19의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우리나라는 세계적 방역 모범 국가로 인정받았고, K-방역 제품과 K-의료는 세계적 수준으로 도약했다.
최근 5년 사이 K의료는 대형 병원을 중심으로 해외 진출이 이뤄져, 중소병원들의 진출이 과제다.
K의료 산업이 비대면 의료 등으로 활성화될 경우, 전 세계인들을 대상으로 한 의료가 가능함에 따라 대형병원 및 중소병원들의 한국 의료 산업의 글로벌 진출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OSBI 관계자는 보고서를 통해 ‘비대면 의료에서 유리할 수 있는 대형 병원보다 개인 병원들에 대한 비대면 의료 시설․장비 등에 대한 지원, 개인 병원과 대형 병원 간 협력 촉진, K-의료의 글로벌 진출 촉진 정책 등이 필요하다’며 ‘특히, 한국의 성형 기술은 세계 최고 수준으로 중소성형외과의원들이 ‘K성형의료협동조합’을 구성, 규모화를 통해 세계 시장에 도전할 경우에 글로벌 진출이 용이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